[I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국내 연구진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의 작동 원리를 최초로 밝혀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4일)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mRNA 백신의 세포 내 전달 등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mRNA를 활용한 백신은 모더나와 화이자가 상용화한 코로나19 백신으로, 전통적인 재조합 단백질 방식 백신보다 훨씬 빠르게 생산할 수 있고, 각종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쉽습니다.
이에 연구팀은 우선 mRNA가 처음 인체에 유입될 때 '황산 헤파란'이란 단백질 도움을 받아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TRIM25'는 소포체 막이 파열되면서 나오는 양성자 이온(H+)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그럴 경우 mRNA를 표적 삼아 빠르게 분해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김 단장은 지난 2일 서울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번 연구가 "mRNA 백신을 맞으면 세포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실제로 제대로 연구한 적은 없고 일반적인 mRNA와 같은 방식으로 작용할 것이란 가정만 있었다"며 이번 연구가 기초과학적 호기심으로 시작된 연구라고 설명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연구는 mRNA 백신의 세포 내 작동 원리를 최초로 밝혀냄으로써 mRNA 치료제의 효능과 안정성을 한 단계 높여갈 이론적 토대가 마련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mRNA #백신 #김빛내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