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오는 9일 발효 예정인 상호 관세를 앞두고 각국 간 이른바 '양보 속도전'이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날(2일) 공개한 상호관세 방안에 따르면 미국은 오는 5일부터 모든 국가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9일부터는 무역적자가 큰 국가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이 방식에 따라 적용되는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최대 50%에 달한다.
유럽연합(EU)에는 20% 상호 관세가 적용된다. EU는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에서 2356억 달러 규모의 흑자를 기록해 이번 상호 관세 조치의 주요 대상국 중 하나로 지목됐다.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율 패널 들어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FT에 따르면, EU 관리들은 미국과의 협상에서 수입차에 부과하는 10% 관세를 미국 수준인 2.5%로 낮추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미국산 에너지 및 무기 구매 확대, 중국의 값싼 제품 덤핑에 대한 공동 대응 등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EU는 오는 4일, 마로시 셰프초비치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 주재로 미국 측과 화상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일본은 24%의 고율 관세를 부과받았다.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더 많은 LNG 구매나 추가 기업 투자 등의 양보가 실제 관세 인하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고 FT는 전했다.
이는 각국의 양보가 반드시 실질적인 관세 인하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상호 관세 시행까지 일주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각국의 추가 양보 시도가 이어지겠지만, 관세율이 대폭 조정될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FT는 한국도 주요 대상국으로 언급했다. 한국은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에서 약 55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미국이 한국에 책정한 상호관세율은 25%다.
미국은 한국을 상대로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미국산 쇠고기 수입 월령 제한, 미국 콘텐츠 제공업체(CP)에 대한 망 사용료 부과 등 다양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고 FT는 소개했다.
한미경제연구소(KEI)의 톰 가미지라미지 경제정책 연구원은 "미국이 글로벌 공급망 파트너십에서 스스로를 고립시킬 여유가 없는 전략 산업이 (한국에) 일부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상호 관세 시행일이 다가오면서 각국의 막판 양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그러나 일부 관세 조정이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대대적인 관세 인하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향하는 에어포스원(대통령 전용기) 기내에서 취재진에게 상호 관세 협상과 관련해 "그것은 '미국에 엄청난 것을 제공하겠다'고 말하는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