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 항구적 기준선 될 수 있어"
상호관세 발표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협상 가능성을 열어놨지만, 협상을 하더라도 관세율을 10% 밑으로 낮추지는 않을 것이라는 징후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 상호관세에 협상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기자의 말에 "그것은 '우리가 미국에 엄청난(phenomenal) 것을 제공하겠다'고 말하는지에 달렸다"며 협상 가능성을 열어놨다.
미국은 영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유럽연합(EU)의 절반인 10%로 정했다.
조너선 레이놀즈 영국 산업통상장관은 3일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가 철폐되거나 인하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가능하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레이놀즈 장관은 이날 아침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통화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하지만 3일 진행된 미국과 영국 당국자 간 논의에서 영국이 더 나은 조건을 받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상호관세 부과 행정명령 들어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 |
트럼프 행정부 고위 당국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에 앞서 기자들에게 10% 하한선 아래로 떨어뜨리면 남용의 문이 열릴 위험이 있다고 말한 바 있는데 관세가 낮은 다른 국가를 통해 우회 수출하는 길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 당국자가 말했다.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들은 협상 기회는 10%를 넘는 상호관세가 부과된 약 60개국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영국 당국자들은 트럼프 행정부 내 두 진영, 모든 국가에 대한 영구적인 관세를 원하는 진영과 무역 상대국들의 정책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관세 부과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려는 진영이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궁극적인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렸지만, 미국이 관세율을 10% 밑으로 낮추겠다는 생각을 완전히 접지 않았다는 사실은 협상을 시도해 볼 가치가 있다는 뜻이라고 이들은 전했다.
jungwo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