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보편관세 + 57개국 상호관세'는 발표 전날에야 확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7개국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막판까지 관세 부과 방식을 놓고 내부 논의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팀 내부에선 보편관세와 상호관세를 둘러싼 설득과 논쟁이 계속됐다.
보편관세는 전 세계 모든 수입품에 동일한 세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반면 상호관세는 상대 국가가 자국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보복관세를 적용하는 국가별 맞춤 형식이다.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상호관세보다 보편관세가 더 효율적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받은 만큼 돌려준다'는 상호주의 개념에 관해서도 관심이 컸다.
또한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상호관세를 선호했다.
받은 만큼 되돌려준다는 개념에 대해 미국 국민도 훨씬 호의적일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보편관세와 상호관세를 모두 적용하는 방식으로 관세전쟁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그는 지난 2일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기 이틀 전에야 각국의 관세율 수치를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모든 국가에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57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결정은 발표 전날에야 확정됐다.
이는 여당인 공화당을 비롯해 재계와 노동계에서도 과도한 관세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직전까지 백악관은 재계와 노동단체들의 만류 전화를 받았고, 공화당 의원들도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경고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도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부과 계획보다 충격이 적은 대안을 준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 고위 관계자는 "대부분의 백악관 관계자는 이제 관세 문제를 논의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라며 "이제부터는 감세 문제를 강조하고, 연방 의회와의 정책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발표 후 지수가 폭락한 뉴욕증권거래소 |
kom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