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물공학회 2025년도 춘계 국제심포지엄
3일 대전 유성구에서 열린 한국생물공학회 2025년도 춘계 국제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생뭉공학분야 신진연구자 8명이 발언하고 있다. . 왼쪽부터 고현준 강원대 조교수, 고영진 제주대 교수, 김동형 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한용희 전남대 교수, 신종오 전남대 조교수, 유상묵 경북대 조교수, 김준원 서울대 조교수, 이길용 세종대 교수(왼쪽부터). /사진=한국생물공학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가 이달 전세계 최초로 '합성생물학육성법'을 제정한 가운데, 합성생물학계 젊은 연구자들은 '기대 반 우려 반'이다. 이들은 "AI(인공지능) 등 첨단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으로 연구가 가속할 것"이라면서도 "실제 연구자들이 첨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때까진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3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5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및 국제심포지엄'이 열린 가운데 이 자리에 모인 합성생물학 분야 젊은 연구자들은 이처럼 입을 모았다. 이들은 연구를 시작한 지 7년 미만인 신진연구자다.
합성생물학은 생명과학에 공학적인 기술 개념을 도입해 DNA, 단백질, 인공세포 등 생명 시스템을 설계·제작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유전자치료제, 개인 맞춤형 약 등 각종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과 접목하면 더 빠른 속도로 분석 및 설계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인공세포 설계, 제작, 테스트 전 과정을 자동화한 '바이오파운드리'도 합성생물학의 핵심 인프라로 꼽힌다.
이같은 흐름에서 합성생물학 분야에서 자신만의 연구를 시작한 신진연구자들의 기대감도 크다.
그는 "합성생물학육성법이 통과하며 'K-바이오파운드리' 구축이 가능하게 된 만큼, 이같은 인프라가 갖춰지고 국가 차원에서의 연구비 지원이 이뤄진다면 우리나라도 전 세계적인 개발 속도에 맞춰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선 신진연구자를 위해 정부가 좀 더 다양하고 넓은 분야의 기초연구를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연구자는 "R&D 예산이 복원되긴 했지만, 대형과제 위주로 늘어나다 보니 개인 연구자 입장에서는 연구비가 늘었다는 느낌이 적다"고 했다. 그는 "양자컴퓨터 등 최신 기술은 아직 시험적으로 특정 기관에 설치하거나 운영하기 시작한 단계여서 (신진연구자 입장에선) 접근이 그렇게 쉽지 않다"며 "최신 디지털 기술이 개인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을 때까지 이르려면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