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심판의 주심을 맡은 정형식(64·사법연수원 17기) 재판관은 8명 중 기수가 가장 높으며 보수 성향으로 알려져 있다. 재판관 중 유일하게 윤 전 대통령이 직접 지명한 재판관이기도 하다. 정 재판관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후 대전고법원장, 서울회생법원장,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를 지냈고 법리에 해박하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2018년 국정 농단 사건 2심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한 판결로 주목받았다.
이미선(55·26기) 재판관은 정 재판관과 함께 수명(受命) 재판관으로서 증거 조사와 쟁점 정리를 담당했다. 2019년 4월 취임 당시 역대 최연소 헌법재판관으로 기록됐다. 부산대 법대를 졸업하고 대법원 재판연구원, 서울중앙지법·수원지법 부장판사 등을 지낸 노동법 전문가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명한 이 재판관은 국제인권법연구회 출신으로 진보 성향이라는 평을 받는다.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맡아 탄핵 심판을 진행한 문형배(60·18기) 재판관도 문 전 대통령이 지명·임명한 진보 성향 인사로 분류된다.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뒤 부산고법 수석부장판사, 부산가정법원장을 역임하는 등 주로 부산·경남 지역에서 근무한 향판(지역법관) 출신이다. 진보 성향 법관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지낸 이력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이 지명한 김복형(57·24기) 재판관도 중도 성향으로 분류된다. 서울대 법대를 나와 대법원 재판연구관, 수원고법 부장판사·춘천지법 수석부장판사 등을 역임했다. 여성 법관 최초로 대법관실 소속 전속 연구관으로 일한 이력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추천한 정 재판관은 서울대 의대에 진학했다가 같은 대학교 법대로 재입학했다. 여성 최초로 서울중앙지법 부패전담부 재판장을 맡아 이명박 전 대통령의 뇌물 수수 혐의 재판에서 징역 15년을 선고했다. 서울서부지법원장 등을 지냈고, 우리법연구회를 거쳐 국제인권법연구회 회장을 지내는 등 진보 성향이 강한 인사로 평가받는다.
[박혜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