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스마트폰 소식

트럼프 관세폭탄에 아이폰 330만원?…애플 주가 9.3%↓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애플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시행되면 최악의 경우 아이폰 최상위 모델 가격이 2300달러(약 330만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30∼40% 오를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기존 중국에 적용해온 20%의 관세를 더하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는 54%로 급등하게 된다. 연간 2억2000만대의 아이폰을 판매하는 애플은 생산 기지를 동남아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로젠블래트 증권은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를 애플이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제품 가격이 43%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된 아이폰 16 시리즈 기본형은 가격이 최대 1142달러에 이를 수 있고,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 맥스는 소비자 가격이 1599달러에서 2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폭넓은 관세를 부과했다. 애플은 당시 일부 제품에 대해 면제나 유예를 받았다. 로젠블래트 증권의 바튼 크로켓 애널리스트는 “이번 중국 관세는 미 대표 기업인 애플이 지난번처럼 특혜를 받을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과 전혀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공동 창립자 닐 샤에 따르면, 애플은 수입 관세를 상쇄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최소 30% 가격을 인상해야 한다. 하지만 아이폰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애플이 가격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CFRA 리서치의 주식 애널리스트 안젤로 지노는 “애플이 소비자에게 5∼10% 이상 가격을 전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애플은 매년 가격 인상을 계획적으로 진행하는데 아이폰 17 출시 예정인 올가을까지는 주요 가격 인상을 보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3일 뉴욕 증시에서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9.25% 급락한 203.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6월10일(종가 기준 192.47달러)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2020년 5월 이후 약 5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에서 제품을 대부분 생산하는 애플에 비해 한국의 삼성전자가 유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삼성전자 역시 주요 생산기지인 베트남에 미국이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물량의 절반가량을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에 상당량을 수출한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