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시행되면 최악의 경우 아이폰 최상위 모델 가격이 2300달러(약 330만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30∼40% 오를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기존 중국에 적용해온 20%의 관세를 더하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는 54%로 급등하게 된다. 연간 2억2000만대의 아이폰을 판매하는 애플은 생산 기지를 동남아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로젠블래트 증권은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를 애플이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제품 가격이 43%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된 아이폰 16 시리즈 기본형은 가격이 최대 1142달러에 이를 수 있고,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 맥스는 소비자 가격이 1599달러에서 2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공동 창립자 닐 샤에 따르면, 애플은 수입 관세를 상쇄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최소 30% 가격을 인상해야 한다. 하지만 아이폰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애플이 가격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3일 뉴욕 증시에서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9.25% 급락한 203.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6월10일(종가 기준 192.47달러)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2020년 5월 이후 약 5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에서 제품을 대부분 생산하는 애플에 비해 한국의 삼성전자가 유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삼성전자 역시 주요 생산기지인 베트남에 미국이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물량의 절반가량을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에 상당량을 수출한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