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민주당, 한덕수·최상목 탄핵 '속도조절' 할 듯…국정 안정·여론 진정 방점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후 의원총회서 최종 결정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들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 위해 회의실에 입장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4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에 '속도조절'을 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대선 관리 역할을 해야 하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재탄핵도 추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불법 비상계엄 이후 무너진 국정을 안정시키고, 장기화된 탄핵 과정에서 지친 여론을 다독이기 위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복수의 야권 관계자는 이날 한국일보에 "오늘 국회 본회의에서는 최 부총리 탄핵을 처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민주당 관계자는 "한 총리는 대선 관리 역할을 맡아야 하기 때문에 탄핵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최 부총리의 경우 탄핵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크지만 오늘 본회의에서 처리하지 않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로 넘기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이복현(왼쪽) 금융감독원장이 들어오고 있다. 오른쪽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정다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당 내에서는 최 부총리를 향한 분노 여론이 폭발 직전이다. 최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당시 국회가 선출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으면서 탄핵심판에 혼선을 빚었다는 점에서다. 더구나 미국 국채 2억 원 투자 논란이 불거지며 민심도 돌아섰다는 게 민주당 판단이다.

다만 윤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민심의 피로감이 커진 데다가, 국정 안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민주당도 '로키'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탄핵의 강'을 넘어서고 이제는 민생 회복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우원식 국회의장 역시 '국정 안정'에 무게를 싣는 입장으로 국무위원 추가 탄핵에 부정적 입장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를 열고 한 권한대행 및 최 부총리에 대한 '쌍탄핵'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우태경 기자 taek0ng@hankookilbo.com
박준규 기자 ssangkkal@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