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불공정 관세율 최대한 낮춰야”
오버비 “첨단기술 대미 투자 바탕 설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마이애미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에게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하루 뒤인 3일(현지시간) “반도체 (관세)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주식시장 폭락에 대해선 “예상됐던 것”이라며 “환자가 수술받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의미를 축소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이 “경이로운”(phenomenal) 제안을 한다면 관세 협상에 나설 수 있다고도 밝혀 향후 한국의 협상 전략이 중요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저가 있는 플로리다주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상호관세 협상 의향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누가 우리에게 경이롭고 좋은 것을 주겠다고 말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중국이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을 승인하는 문제를 미국이 부과한 관세와 연관 지어 말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관세는 우리에게 강력한 협상력을 주고 있다. 모든 나라가 우리에게 전화를 걸어왔다”고도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참모들은 “대통령은 관세를 철회할 생각이 없다”(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협상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비상사태”(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고문)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워싱턴포스트도 백악관이 상호관세를 무역 상대국과의 협상의 출발점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내부 지침을 마련해 공유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협상에 따른 관세 조정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은 경향신문 기자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협상에 열려있다고 한 만큼 한국은 협상을 통해서 공정하지 않은 상호관세율을 최대한 합리적 수준으로 낮추는 게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 위원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요구 가능성에 대해선 “트럼프 행정부의 패턴상 의회를 배제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어 FTA 재협상부터 행정부 차원의 새로운 협정이나 합의를 요구할 가능성까지 모두 열려있다고 보고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 연구위원. 워싱턴 | 김유진특파원 |
미국상공회의소 아시아 담당 부회장을 지낸 태미 오버비 올브라이트 스톤브리지 그룹 선임고문도 경향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국은 조선, 반도체, 배터리 등 미국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 부문의 대미 투자를 바탕으로 강력한 주장을 펼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버비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드라이브가 동맹 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방과 동맹을 고율 관세로 때리는 트럼프의 접근이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관한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미국의 공세적 행동은 한국과 일본을 중국 쪽으로 좀 더 움직이게 할 수 있다”고도 말했다.
태미 오버비 올브라이트 스톤브리지 그룹 선임고문 |
워싱턴 | 김유진 특파원 yj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