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재판관 전원일치 의미는···‘불복 여지 없애고 사회 혼란 최소화’[윤석열 파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4월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정진석(오른쪽) 국민의힘 의원의 신임 비서실장 임명 발표를 한 뒤 단상에서 먼저 내려가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파면을 선고하면서 8인 전원이 일치된 의견을 내놓았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헌재의 탄핵심판 결정에 불복할 여지를 최소화하고 대통령 파면 이후 사회가 신속히 통합에 이를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지난 2월 25일 변론 종결 이후 한 달 넘도록 장고가 이어지면서 일각에선 헌재가 재판관들의 의견이 극명하게 갈려 교착상태에 빠졌다는 관측까지 제기됐다. 특히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보다 먼저 결정이 나온 한덕수 국무총리 등 다른 탄핵심판 사건 결정을 근거로 재판관 이념 성향에 따른 온갖 소문이 분분했다.

앞서 헌재는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사건을 거치면서 ‘중대한 법 위반이 있을 때 파면한다’는 기준을 세웠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이날 “피청구인(윤석열)의 위헌·위법 행위는 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것으로, 헌법수호의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는 중대한 법 위반행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헌법연구관 출신인 노희범 변호사는 “헌법 수호라는 탄핵심판 제도의 본질과 기능에 비춰 판단이 나온 것”이라며 “이념 성향에 따라 헌법 위반 여부의 중대성이 달라질 수 없다”고 말했다.

탄핵심판 변론 과정에서는 파면 결정을 내리기에 충분할 정도의 증언과 증거들이 나왔다.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지난 2월6일 6차 변론에 증인으로 나서 12·3 계엄 당시 윤 대통령으로부터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들었다고 말했다. 헌재가 직권으로 채택한 유일한 증인인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도 지난 2월13일 8차 변론에서 ‘국회에 들어가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유일하게 두 번 증인신문에 나선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국회의원 체포조 명단을 적은 메모를 증거로 제출했다.

앞선 탄핵심판에서 이견을 내기도 했던 주심 정형식 재판관과 조한창 재판관도 이번에는 뜻을 같이했다. 재판관들은 법정의견 결론에 모두가 동의하면서 “탄핵소추안의 발의 횟수를 제한하는 입법이 필요하다”(정형식), “탄핵심판절차에서 형사소송법상 전문법칙을 완화해 적용할 수 있다”(이미선·김형두), “탄핵심판절차에서 전문법칙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김복형·조한창) 등 3개의 보충의견만을 제시했다. 반대의견은 아예 없었다.

헌재는 이번 탄핵심판이 절차적 적법성을 비롯해 실체적 쟁점을 두고 윤 대통령 측과 국회 측이 치열하게 다퉈온 만큼 평의 과정에서 법리 검토와 결정문 문구 수정에 심혈을 기울인 것으로 전해졌다.

헌법재판관 일부에서 기각 의견이 나온다면 헌재의 존립 근거가 흔들릴 수 있고 사회 혼란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이번 결정 선고에 반영됐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는 헌재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사건을 전원일치로 인용 결정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선고 전날까지도 직접 승복 뜻을 밝히지 않은 만큼 소수라도 기각 의견이 나오면 지지층의 격렬한 반발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이다.

유선희 기자 yu@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