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표 대한신장학회 총무이사(보라매병원 신장내과 교수)
말기 콩팥병 진료비 암 5배 수준
혈액투석 땐 경제활동도 어려워
환자 혼자 할 수 있는 복막투석
일상 시간 활용 등 장점 많지만
혈액투석과 수가差 120배 달해
"접근성 제고 위한 제도개선 시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솔직히 투석을 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을 땐 받아들이기 어려웠습니다. 건강 만큼은 누구보다 자신 있었거든요."
복막투석 재택관리 시범사업에 참여 중인 유병욱(50대·남) 씨는 2015년 만성 콩팥병(만성 신부전)으로 진단받던 순간을 이렇게 회상했다. 가족들을 생각하며 간신히 마음을 다잡았는데 '직장에 계속 다닐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머릿 속을 스쳤다. 치료비와 생계비를 충당하려면 경제활동을 계속 해야 하는데 투석을 받으면 일주일에 세 번은 반나절을 병원에서 지내야 했기 때문이다. 주치의인 이정표 대한신장학회 총무이사(보라매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매일 스스로 관리해야 한다는 번거로움만 감수하면 집에서 투석이 가능해 일상생활을 유지하기가 한결 수월하다”며 '복막투석'을 권했다. 2016년 2월 투석을 시작한 유씨는 현재 복막투석 5일, 혈액투석 1일을 하며 10년째 치료를 이어오고 있다. 그는 "경제적 여건 때문에 복막투석을 선택했지만 돌이켜보니 정신적인 충격에서 빨리 벗어나 사회구성원으로서 활동하는 데도 도움이 됐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침묵의 장기 '콩팥' 초기 증상 없어 조기 발견 어려워
문제는 콩팥 기능이 떨어져도 초기엔 증상을 알아채기 어렵다는 점이다. 오죽하면 '침묵의 장기'라고도 불릴까. 대한신장학회는 콩팥의 건강 상태를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사구체가 혈액을 걸러내는 정도를 수치화해 ‘콩팥 점수’를 만들었다. 정식 용어는 사구체 여과율(GFR). 점수가 높을수록 노폐물을 잘 걸러내고 콩팥 건강이 좋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콩팥병의 심각도를 사구체 여과율을 기준으로 1단계(90점 이상)에서 5단계(15점 미만)로 구분한다. 1단계는 콩팥이 일부 손상됐지만 정상적인 기능이 가능한 상태다. 콩팥 기능이 저하될수록 단계가 올라간다. 3단계(30-59점)부터는 콩팥 기능이 중등도 수준으로 떨어지고 다양한 합병증이 생기기 시작해 서둘러 신장내과 전문의와 치료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 5단계는 콩팥 기능이 거의 없는 상태로 손상된 신장을 대신할 대체요법이 필요하다.
━
◇ 투석 시작하면 평생 지속···암보다 치료비 부담 높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교수는 "비용이 암 치료의 5배 수준으로 단일 질환 중 진료비 부담이 가장 높은 질환"이라며 "치료를 평생 지속해야 하기 때문에 의학적, 사회경제적, 개인적 상황을 토대로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투석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투석은 혈액 속 과도한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해준다.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다. 혈액투석은 환자 몸 속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한 동정맥루에 바늘을 꽂아 혈액을 외부로 빼낸 다음 투석기를 통해 노폐물 등을 제거하고 다시 넣어주는 방법이다.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3회씩 병원에 가야 하지만 그만큼 의료진과 자주 만날 수 있어 안정감을 느끼는 환자들도 있다. 복막투석은 아랫배에 넣은 가는 관을 통해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배 안에 투석액을 넣고 4~8시간 가량 방치했다가 빼고 새 투석액을 교환한다. 도관이 영구적으로 복강 내에 남아있기 때문에 매번 주사바늘로 찌를 필요가 없다. 스스로 투석을 시행하고 한달에 한 번 정도만 병원에 방문하면 되기 때문에 직장과 학업, 여행 등 일상의 시간을 조절하기가 한결 용이하다. 기계를 사용하는 자동복막투석은 밤에 잠자는 시간을 활용해 집에서 투석을 받을 수도 있다.
━
◇ “주3회 병원 가는 대신 스스로 관리” 장점에도···복막투석 환자 점점 줄어
안경진 의료전문기자 realglasse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