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목)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트럼프 관세 폭격에 놀란 중국, 해외 생산기지 확장 전략 재검토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쑤저우 항구에서 선적 대기 중인 자동차들./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세계를 겨냥한 ‘관세 폭탄’으로 인해 중국의 해외 생산 기지 확장 전략에 제동이 걸렸다. 중국 기업들은 2018년 미중 무역 분쟁이 본격화 된 이후 미국의 관세 공격을 피해 베트남 등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했지만, 2일 미국이 캄보디아(49%), 라오스(48%), 베트남(46%), 방글라데시(37%) 등에 무거운 관세를 매기자 ‘도피처’가 사라진 것이다.

4일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은 “중국 기업들은 베트남 등지에서 추진하던 해외 기지 확장 속도를 늦출 수밖에 없게 됐다”면서 “미국이 향후 멕시코 등에 대해서도 2차 관세(secondary tariff)를 부과할 수 있어 중국 기업들의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고 했다. 토니블레어연구소의 중국 전문가 루비 오스만은 로이터에 “중국 기업들은 미국 제재를 피하기 위해 베트남, 멕시코 등 국가를 통해 (미국 수출) 경로를 바꿨지만, 이 방식이 통하지 않게 됐다”고 분석했다.

중국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폭탄으로 미국의 대(對)중국 평균 관세율이 65~66%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노무라증권의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루팅은 “2018년 이전 미국의 대중국 수입품 관세율은 약 3%였고, 트럼프 1기 임기 중에 평균 8%가 추가됐다”면서 “트럼프 2기 추가 관세를 합하면 미국의 현재 대중국 관세율은 65%에 이르는 수준”이라고 했다. 트럼프가 다음달 2일부터 중국발(發) 상품에 대해 제공하던 소액 면세 혜택을 폐지한 조치도 대중국 관세율을 1% 가량 인상하는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소액 배송은 중국의 대(對)미국 수출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싱즈창은 “트럼프의 관세 조치로 인해 중국이 입는 경제적 타격은 2018~2019년의 미중 무역전쟁 당시를 능가할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과의 협상 조건을 더욱 높이면서 관세 철회도 더욱 어려워졌다”고 분석했다.

중국 지도부는 충격파 완화에 집중하는 동시에 미국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차이신은 “중국이 소비 진작과 내수 확대 등 다양한 경기 부양책을 통해 관세 충격을 완화하려 시도할 것”이라며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나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등이 예상된다”고 했다. 다만 허야둥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일 “미국의 조치는 일방주의·보호주의·패권주의의 본색을 드러낼 뿐”이라고 비난하면서도 “중국은 미국과 양국 경제·무역 영역 중요 문제에 관해 교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통보해 놓고 협상을 시작하는 ‘선부과, 후협상’ 전략을 구사한다고 보고, 전면전에 앞서 협상에 나서겠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중국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계기로 미국의 동맹국 등과 관계를 심화하며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는 4일 ‘트럼프가 시진핑에게 세계를 중국 편으로 끌어들일 기회를 줬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황금 같은 기회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EM리옹 비즈니스스쿨 상하이 캠퍼스의 프랭크 차이 교수는 블룸버그에 “트럼프의 ‘해방의 날’은 미국을 배제한 다른 나라들의 무역을 장려한 셈”이라고 했고, 미국 싱크탱크 스팀슨센터의 윤선 중국 프로그램 디렉터는 “트럼프의 관세를 계기로 중국은 미국의 동맹국들과 관계를 강화해 대안이 되는 세계 질서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3일 허야둥 상무부 대변인은 “중국과 EU(유럽연합)는 전기차 반(反)보조금 안건 협상을 조속히 재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앞서 EU는 작년 10월 말 1년 간 조사 끝에 중국 정부의 불법 보조금을 받은 전기차가 유럽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는 이유로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5.3%의 관세 부과를 확정했는데, 이에 대해 양측이 재협상에 나선다는 의미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