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선고 1분도 지나지 않아 속보로 판결 결과를 타전했다. 신화망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은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인용 소식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차기 대통령의 외교 노선 전환을 기대하는 눈치다.
관영 중국중앙방송(CC-TV)은 이날 헌재 판결을 동시통역으로 생중계했다. 신화통신은 헌재 선고 후 1분도 지나지 않아 “윤석열 대통령 직무에서 파면” 속보를 타전할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중국은 특히 차기 한국 정부의 외교 노선 변화를 바라는 모습이다. 북핵 6자회담 부대표를 지낸 양시위(楊希雨) 중국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은 “만에 하나 보수 정당이 다시 대권을 차지하더라도 외교정책은 윤석열 정부와 다를 것”이라며 “윤 정부는 지난 2년간 강경하고 극단적인 정책으로 미국·일본과 관계를 개선했고, 동시에 중국과 북한과 관계는 또 다른 극단으로 몰아갔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 당선될 대통령은 이 네 가지 메커니즘(4개국과 관계)을 적절하게 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중국은 한국 정국의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CC-TV는 “윤 전 대통령이 물러났지만 정치 폭풍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대법원이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유죄를 확정하면 대선에 출마할 수 없다. 대법원의 판결 날짜와 다음 대선 시점이 향후 한국 정치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방송은 또 “박근혜와 윤석열까지 연달아 타격을 입은 보수 세력은 피동적 국면에서 벗어나기 상당 기간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