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가격 인상 움직임…포드는 할인
"GM은 미국 공장서 트럭 생산 늘릴 계획"
"日닛산, 미국 내 감산 계획 철회"
'트럼프 관세' 맞은 글로벌 자동차 업계 |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 정식 발효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거센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다국적 완성차업체 스텔란티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을 일시 중단함에 따라 미국 내 5개 공장에서 900명의 근로자를 일시 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시 감원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직후 이뤄졌으며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제조업이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해왔다고 FT는 짚었다.
크라이슬러, 지프, 램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는 관세 여파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 있는 조립 공장 가동을 2주간 중단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스텔란티스는 캐나다와 멕시코 공장의 가동 중단으로 파워트레인(전동장치) 등 미국 내 부품 생산 공장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스텔란티스의 신용 등급을 'BBB+'에서 'BBB'로 낮췄다. 블룸버그 통신은 스텔란티스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여파로 등급이 하락한 첫 번째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라고 전했다.
제너럴모터스(GM) |
반면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3일 직원들에게 보낸 웹캐스트에서 인디애나주 포트 웨인 조립 공장에서 경량 트럭 생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알렸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상대적으로 관세 충격이 덜한 미국 포드자동차는 대대적인 가격 할인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행사명은 '미국으로부터 미국을 위한'이며 일반 고객에게 직원 할인가를 적용할 방침이다.
포드자동차는 미국 판매 차량의 80%를 미국 내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GM이나 스텔란티스 등 경쟁사에 비해 관세 충격을 덜 받는다.
독일 폭스바겐 |
관세 타격을 크게 받게 된 독일 폭스바겐은 '수입 수수료'를 붙이는 방법으로 판매가 인상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폭스바겐은 또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차량의 철도 선적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으며 유럽에서 선박을 통해 미국에 도착하는 차량도 항구에서 잠시 보관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폭스바겐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와 차량 부품에 부과한 25%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꺼내든 첫 번째 사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일본 닛산자동차는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내 감산 계획을 철회했다.
khmoo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