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인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일대에서 경력이 방호복을 착용하고 있다. 방호복을 착용한 채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일 경찰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에 맞춰 전국에 발령한 ‘갑호비상’을 이날 저녁 6시부로 해제하고, 서울은 을호비상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경찰청은 이날 저녁 6시부터 전국 경찰관서에 발령했던 갑호비상을 해제하고 서울경찰청은 을호비상 체제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경찰의 비상근무 중 가장 높은 단계인 갑호비상을 이날 오전 0시부터 18시간 지속한 뒤 마무리한 것이다. 다만 서울의 경우 비상근무 체제 가운데 2번째로 높은 단계인 을호비상으로 한 단계 낮춰 비상근무 체계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서울 지역 경찰관의 연가가 중지되고 가용경력 가운데 50%를 동원할 수 있다. 경찰청은 이날 각 시도경찰청에 경계강화 지시도 내렸다.
경찰은 이날 전국에 기동대 338개 부대 2만여명을 배치하고, 이 가운데 60%가 넘는 210개 부대 약 1만4천명을 서울에 투입했다. 헌재 인근 150m 이상을 차벽으로 둘러싸 집회 참가자들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진공화’했고, 재판관 신변 보호를 위한 경호 인력도 추가 배치했다. 헌재 인근 검문검색을 강화해 흉기 같은 위험 용품 반입도 차단했다.
헌재 인근 지하철 3호선 안국역도 이날 오후 4시32분부터 약 24시간 만에 폐쇄를 풀고 정상 운행하기 시작했다. 안국역은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대규모 인파가 몰려들 것을 우려해 전날 오후 4시부터 무정차 통과와 함께 모든 출구를 폐쇄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몰려들면서, 이날 오전부터 폐쇄됐던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도 이날 오후 1시15분부터 역 폐쇄 조처를 해제했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뒤 우려했던 폭력 난동 사태는 없었다. 파면 선고 직후 일부 지지자들은 ‘국민 저항권’을 강조하며 격앙된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으나, 경찰의 삼엄한 경계 속에 집단적인 난동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한남동 관저 앞에 모인 윤 전 대통령 지지자 집회는 이날 오후 3시 마무리 됐다.
다만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이끄는 자유통일당 등이 ‘불복’을 예고한 상태라 추후 과격 행위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는 지속된다. 전 목사 는 “국민혁명의장으로서 절대로 대한민국을 북한의 연방제로 넘겨줄 수 없기 때문에 윤 대통령 탄핵을 인정할 수 없다. 헌재 판결이 다가 아니다. 그 위의 권위인 국민저항권이 남아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그간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 등과 함께 탄핵 반대를 주장해 온 기독교 단체 세이브코리아는 이날 성명을 내어 “대한민국의 일원으로서 오늘 헌재의 결정을 받아들인다”며 헌재 선고에 대한 승복 의사를 밝혔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