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에 따른 불확실성은 해소
美 상호관세 등 대외 리스크 여전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참석해 있다. 헌재는 이날 오전 11시 22분 재판관 전원 의견 일치로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고 밝혔다. 2025.04.04.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로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탄핵 정국의 불확실성이 일부 덜어졌지만,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대외 리스크가 커진 상황에서 이번 탄핵 선고에 따른 정치적 후폭풍이 지속될 경우 시장이 혼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1.28포인트(0.86%) 내린 2465.42에 장을 마쳤다. 전일 대비 1.46%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가 시작된 직후 상승 전환해 2500선을 회복했으나 탄핵안 인용 이후 다시 하락해 2430선까지 밀리기도 했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전일 대비 16.5원 떨어진 1450.5원에 출발한 뒤 장중 1430원대로 급락해 32.9원 떨어진 1434.1원에 마감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땐 코스피 단기 상승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선고 당시 금융시장은 빠른 회복세를 보인 바 있다. 박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인용된 지난 2017년 3월 10일 코스피 지수는 전날 대비 0.30% 오른 2097.35에 마감했다. 당일에는 등락폭이 제한적이었지만, 이후 상승 랠리를 지속하며 3월 17일 코스피 지수는 2160선을 돌파했다. 탄핵 선고 일주일 만에 3% 가량 상승한 것이다.
이번 탄핵 선고로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단기적으로는 코스피가 상승하고, 환율도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위재현 NH선물 연구원은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에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영향이 컸던 것으로 판단된다"며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환율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정책을 포함한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 점은 리스크 요인이다. 미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전날 한국에 25% 상호 관세를 확정했다. 앞서 지난달 26일에는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해 이날부터 미국으로 수출하는 자동차에 25%의 관세가 붙게 됐다. 여기에 반도체 관세도 조만간 도입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국내 경기 둔화 속 대미 수출 1, 2위 품목이 모두 관세 충격에 휩싸이게 되면서 한국 경제의 위기감은 어느 때 보다 고조된 상황이다.
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에 금융권 '긴장'
금융당국은 이번 탄핵 선고가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 이후 정치 관련 테마주가 급등락을 반복하며 크게 요동쳤다. 당국은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모든 안정화 조치를 동원한다는 방침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오후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에 참석해 탄핵심판 선고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이들은 이날 회의에서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가능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서울=뉴시스] 박주성 기자 =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2486.70)보다 21.28포인트(0.86%) 내린 2465.42에 마감했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3.49)보다 3.90포인트(0.57%) 상승한 687.39에 거래를 마쳤다.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67.0원)보다 32.9원 내린 1434.1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04. park7691@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나금융은 그룹 위기상황관리협의회를 열어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전날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해 총 6조3000억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한 바 있다. 우리금융도 이날 긴급 회의를 열고 금융시장 동향에 대해 논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