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했다. 사진은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산책하는 윤 전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일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파면 선고 직후인 이날 12시 28분께 야후재팬에는 이 같은 투표 내용이 올라왔다.
오후 5시 현재 7000명이 참여했으며 90%(6290명)가 ‘타당하지 않다’, 8%(558명)가 ‘타당하다’, 2%(158명)가 ‘어느 쪽도 말할 수 없다’라고 답했다.
이 같은 투표 아래 가장 많은 공감을 받은 댓글은 “‘대통령파(大統領派)’의 판사가 4명이나 있는데, 전원 일치로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없다”는 내용이다.
그다음 공감순 댓글에는 “또 문재인 시대로 돌아간다”며 “이재명은 문재인보다 더 과격한 인상이 있고 우리와는 더 격렬하게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라는 내용이 이어졌다.
또 다른 누리꾼은 “한국은 우수한 나라, 국민이지만 그것이 발휘되지 않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대통령이 탄핵 된다면 선택한 국민에게도 좋지 않다. 선택할 때는 열광하고 열기가 식으면 탄핵 시킨다. 지지자도 정당도 크게 반성해야 한다. 재선을 통해 나쁜 문화에서 벗어나 비약하길 바란다”고 댓글을 남겼다.
사진=야후재팬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일본 언론은 헌재의 선고가 결과가 나오자 속보로 전하는 등 비중 있게 다뤘다. 동시에 차기 대통령 선거에 관심을 보였다.
그러면서 “정치인 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선) 지지율 1위여서 정권 교체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차기 대선 투표일을 6월 3일로 전망하며 “그동안 양호했던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도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직후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이 검색어 1위, ‘한국 60일 이내 대선’이 2위에 오를 정도로 관심을 나타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