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타데일리뉴스=서태양기자] 지난 3일 메리츠화재와의 인수·합병이 무산된 MG손해보험이 파산 가능성에 직면하면서 고객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보험 계약 해지와 함께 단체 대화방 개설, 집단행동 등 적극적인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 설계사들은 공포 마케팅으로 갈아타기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5대 손보사 전략 임원을 불러 MG손보의 계약이전을 논의했다. 계약이전은 일정 보험사가 계약을 인수하고, 공적 자금이 이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당국은 이를 통해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입장이다. MG손보는 2022년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메리츠화재와의 매각 협상이 진행됐지만, 노조의 반발로 실사조차 진행되지 못한 채 무산됐다.
MG손보의 보험계약자는 124만 명에 달하며, 이 중 예금자보호 한도인 5000만 원을 초과한 계약자는 약 1만1천 명에 이른다. 이들이 입을 수 있는 피해는 1700억 원 규모로 추산된다. 청산 시 환급금 배당 절차가 길어질 수밖에 없어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이에 따라 MG손보 고객 1800여 명은 단체 오픈채팅방을 통해 정보 공유와 시위 등 집단행동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일부 설계사들이 채팅방을 통해 청산 가능성을 과장하며 타 보험사로의 이동을 권유하는 사례도 발생해, 금융당국은 적극적인 모니터링에 나섰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stardailynews.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