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산둥성 칭다오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선./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정부는 10일부터 미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4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은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의 (중국 추가 관세 부과) 조치는 국제무역의 룰을 위반하는 것으로,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히 침해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이라고 비판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와 함께 발표한 반격(反制) 조치에서 미국 기업 한 곳의 수수 수출 자격을 정지하고, 미국 기업 5곳의 육류 관련 식품의 대(對)중국 수출 또한 막았다. 스카이디오를 포함한 미국 기업 11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올렸다. 중국 상무부는 또 미국 군수기업 16곳에 대한 이중용도 물품(군수용으로도 민간용으로도 쓸 수 있는 물품) 수출을 금지하는 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미국과 인도산 의료용 CT부품에 대해서는 반덤핑 조사에 착수하고, 희토류 7종에 대해서는 미국에 대해 수출 통제 조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국무원의 맞불 관세 발표와 동시에 중국 상무부도 미국 기업에 대한 보복 조치들과 핵심광물인 희토류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 등을 한꺼번에 내놓으며 가세했다.
상무부는 미국 군수기업 16곳에 대한 이중용도 물품(군수용으로도 민간용으로도 쓸 수 있는 물품) 수출을 금지하는 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소스인텔리전스, 시에라네바다 코퍼레이션, 에지오토노미오퍼레이션, 사이버룩스 코퍼레이션 허드슨 테크놀로지, 사로닉 테크놀로지, 오셔니어링 인터내셔널, 티콤, S3에어로디펜스, 텍스트오어, ACT1페더럴도 포함됐다.
중국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폭탄으로 미국의 대(對)중국 평균 관세율이 65~66%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노무라증권의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루팅은 “2018년 이전 미국의 대중국 수입품 관세율은 약 3%였고, 트럼프 1기 임기 중에 평균 8%가 추가됐다”면서 “트럼프 2기 추가 관세를 합하면 미국의 현재 대중국 관세율은 65%에 이르는 수준”이라고 했다. 트럼프가 다음달 2일부터 중국발(發) 상품에 대해 제공하던 소액 면세 혜택을 폐지한 조치도 대중국 관세율을 1% 가량 인상하는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소액 배송은 중국의 대(對)미국 수출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싱즈창은 “트럼프의 관세 조치로 인해 중국이 입는 경제적 타격은 2018~2019년의 미중 무역전쟁 당시를 능가할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과의 협상 조건을 더욱 높이면서 관세 철회도 더욱 어려워졌다”고 분석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