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금)

巨野 책임론도 꺼냈다...헌재 “줄탄핵으로 정치적 압박·국정마비”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헌재 탄핵 결정문 분석

입법·예산 독주 이례적 비판
“타협 필요했던 정치의 문제”
尹의 국회전횡 인식 인정하며
계엄선포 부당성은 못박아

野 “일부 공감” 확대해석 경계
崔탄핵 강행않고 법사위 회부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기일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파면을 결정하면서 이례적으로 국회를 향해서도 쓴소리를 내놨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이라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린 것은 잘못된 판단이지만 거대 야당 주도의 일방적인 법안 처리도 자제할 필요가 있음을 에둘러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헌재는 이날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낭독한 선고 요지에서 “국회는 소수 의견을 존중하고 정부와의 관계에서 관용과 자제를 전제로 대화와 타협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도록 노력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헌재는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할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대해 설명하면서 윤 전 대통령 심정에도 일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시사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윤 전 대통령을 강력히 지지했던 국민들을 배려한 대목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실제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비상계엄 선포 전까지 국회에서 발의된 탄핵소추안은 22건에 달했다. 673조3000억원 규모의 올해 예산안은 지난해 말 증액 없이 감액만 반영된 채 국회를 통과했다.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이 야당의 단독 수정을 거쳐 본회의에서 처리된 초유의 사건이었다. 윤석열 정부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41개 법안 모두 야당이 단독 처리한 법안이었다.

봉황기가 내려갔다…앞으로 60일간 대통령 없는 대한민국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 걸려 있던 ‘봉황기’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 이후 내려지고 있다. 봉황기는 대통령 재임 중에 상시 게양되는 대한민국 국가수반의 상징 깃발이다. ‘상상의 새’인 봉황 두 마리가 마주 보며 무궁화를 감싸고 있는 문양을 넣은 봉황기는 박정희 대통령 재임 시절이던 1967년 1월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승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헌재는 “피청구인(윤 전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 야당이 주도하고 이례적으로 많은 탄핵소추로 인하여 여러 고위 공직자의 권한 행사가 탄핵심판 중 정지됐다”며 “수립한 주요 정책들은 야당 반대로 시행될 수 없었고, 야당은 정부가 반대하는 법률안들을 일방적으로 통과시켜 피청구인의 재의요구와 국회의 법률안 의결이 반복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피청구인은 야당의 전횡으로 국정이 마비되고 국익이 현저히 저해되어 가고 있다고 인식해 이를 어떻게든 타개하여야만 한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국회의 권한 행사가 권력 남용이라거나 국정 마비를 초래하는 행위라고 판단한 것은 정치적으로 존중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헌재는 그러면서도 “국회의 권한 행사가 위법․부당하더라도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피청구인의 법률안 재의요구 등 평상시 권력행사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국가긴급권의 행사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비상계엄 선포의 불법성은 분명히 했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직무대행을 비롯한 재판관들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을 선고 한 뒤 법정을 나가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헌재 지적에 대해 공감하는 부분이 있다는 반응도 나왔다. 다만 결정문의 전체 취지를 왜곡할 수 있는 만큼 확대해석은 경계하는 분위기였다.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민주당이 성찰적으로 받아들일 수는 있겠지만, 헌재가 우리를 향해 직접 지적한 것처럼 해석하는 건 무리”라고 주장했다.

이날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민주당이 국회를 장악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의회 독재와 정치 폭거를 제대로 막아내지 못한 점을 반성한다”면서 “이번 사태로 많은 국민들이 느끼셨을 분노와 아픔에 대해 무겁게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헌재가 판단을 하면서 상식적인 선상에서 민주당에 대한 언급을 했다고 본다”며 “이례적으로 많은 탄핵소추, 법률안 일방 통과 등 민주당의 잘못을 지적했지만, 중요한 건 대통령이 그렇다고 해서 계엄을 해선 안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이날 본회의 처리가 예상되던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소추안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로 회부됐다. 민주당도 여론의 비판을 의식해 일단 무리수를 두지 않은 것이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 후 “법사위로 회부해 청문회 등 조사 절차를 거쳐 최 부총리의 입장을 들어보면서 좀 더 신중하게 판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탄핵소추안은 본회의에 보고된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처리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폐기된다. 법사위 회부를 통해 자동 폐기를 피하면서 민주당 수중에 최 부총리를 압박할 카드는 쥐고 있는 셈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