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사옥.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최근 MS는 인도네시아, 영국, 호주뿐만 아니라 미국 내 일리노이, 노스다코타, 위스콘신주 등 여러 지역에서 데이터센터 부지에 대한 협상을 중단하거나 설립 계획을 연기했다. MS는 아마존웹서비스(AWS)에 이어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2위 업체로이자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파트너십을 통해 인공지능AI 서비스 상용화에 앞장서온 초대형 IT기업이다. MS는 이미 영국 런던과 케임브리지 사이 데이터 부지, 미국 시카고 인근 부지 등에 대한 협상도 중단했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계획했던 데이터센터 건설 역시 연기했다. 위스콘신주 마운트 플레전트시에서 예정했던 확장 계획도 보류했다.
MS가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임대해 오고 있는 코어위브의 최고경영자(CEO) 마이클 인트레이트는 “MS가 추가 용량 확보 요청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AI 인프라 기업인 어플라이드 디지털 CEO 웨스 커민스도 “노스다코타에 위치한 서버 단지에 대해 MS와 협상해왔지만, 다른 기업과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AI 선두 기업 중 하나인 MS가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대거 축소하며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블룸버그는 MS의 이런 데이터센터 축소가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 때문인지 전력과 건축 자재 부족 같은 일시적 건설 문제 때문인지 파악하기 어렵다면서도 일부 투자자들은 AI 서비스 수요 대비 MS의 투자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MS는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변경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고 “AI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데이터센터의 확장이 지속됨에 따라 이번 변경은 우리의 전략적 유연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미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PC, 데이터 센터 장비를 포함한 전자 제품 수입 규모는 4860억 달러로 두 번째로 큰 수입 품목이다. 시장조사업체 번스타인의 분석가들은 지난해 데이터 처리 기기 수입 규모를 약 2000억 달러(290조원)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멕시코와 대만, 중국, 베트남에서 수입된다. 리서치 회사 에베레스트 그룹 파트너인 아브히세크 싱은 “빅테크의 자본 지출이 재편될 것”이라며 “이들 기업이 AI 인프라와 소비자 기술 분야에 대한 단기 지출을 줄이고 부품이나 장비의 공급망을 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