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시위서 급물살 탄 '선결제'
미리 결제한 음식·음료 등 나눠
양심에만 의존…불확실성 큰 구조
"신뢰 사회 증거, 보존해 나가야"
집회서 시작해 온라인 기부 문화로 확산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인근 카페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선결제 문화가 수면 위로 떠오른 건 지난해 서울 광화문 등에서 열린 윤 전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 집회에서였다. 시위에 참여하지 못하는 누리꾼들이 근처 카페나 빵집에 음식값을 미리 결제한 뒤 집회 참가자들에게 베푸는 일종의 응원에 더 가까운 형태였다. 이후 연예인들까지 선결제에 가세하면서 금액과 규모는 삽시간에 불어났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재된 선결제 관련 글. SNS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12월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도 선결제 기부 문화가 등장했다. 공항에 유족이 몰리면서 각종 음식, 생필품 수요가 치솟았는데, 기부자들은 공항 인근 식당이나 편의점 선결제를 통해 유족과 봉사자들을 도왔다. 지난달 경북 대형 산불 때도 소방대원들을 위한 각종 선결제가 쏟아졌다.
'양심'에 의존하는 한계…잡음도 끊이지 않아
선결제 기부 문화는 확산하고 있지만, 앞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기부 문화로 자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구심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기부 전 과정이 개인의 양심에만 의존하기 때문이다. 선결제 과정에서 누군가가 과도한 이익을 취하려 든다면, 언제든 선의가 깨질 수 있다.
일부 누리꾼들은 선결제 받은 만큼의 음식 수량을 준비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은 '먹튀 의심 매장'에 별점 테러를 가해 논란이 불거졌다. 리뷰 사이트 캡처 |
실제로 선결제를 둘러싼 잡음은 탄핵 시위 때부터 끊임없이 흘러나왔다. 집회 참가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음식을 받아가거나, 자영업자들이 주문 수량보다 축소된 만큼만 음식을 준비했다는 일명 '먹튀' 의혹이 일었다. 일부 누리꾼이 먹튀 의혹이 있는 매장에 불만을 품고 별점 테러하는 일이 벌어져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잡음이 있긴 하지만 선결제 문화는 아직 잘 유지되는 편"이라며 "한국에서도 구체적인 계약 없이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비즈니스가 조성되는 신뢰 사회가 생겼다는 반가운 증거"라고 평했다. 그러면서도 "앞으로 신뢰를 해치지 않고 보존하는 게 더 중요하다"며 "선결제 문화의 지속 여부는 결국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의 노력에 달린 일"이라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