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이 미국 증시 하락에도 상승했다.
5일(한국시간) 오전 10시 가상자산(암호화폐) 통계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7% 상승한 8만3687.92달러(주요 거래소 평균가)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전일 0.2% 내린 1816.33달러, 바이낸스 코인은 1.0% 오른 596.49달러로 나타났다.
이 밖에 솔라나는 +5.6%, 리플 +3.8%, 에이다 +2.6%, 도지코인 +5.6%, 트론 +0.1%, 아발란체 +0.7%, 시바이누 +1.9%, 폴카닷 +0.5%, 톤코인 -3.3%, 유니스왑 +1.1%, 앱토스 -1.8%, 라이트코인 +1.7%, 폴리곤 +0.8%, 코스모스 +7.0%, OKB +6.1%로 집계됐다.
미 증시는 미·중 관세 전쟁 격화에 급락했다. 밤사이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2231.07포인트(5.50%) 급락한 3만8314.86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322.44포인트(5.97%) 떨어진 5074.0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962.82포인트-5.82%) 하락한 1만5587.79에 각각 마감했다.
또한, '연준 풋'(풋옵션에 빗댄 연준의 시장대응책) 신호를 기대했던 투자자들은 "아직 정책 변환을 얘기하기엔 이르다"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느긋한 발언에 실망하며 투매를 이어갔다.
하지만 현재로써는 그런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파월 의장은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은 그와는 다르다"고 전제한 뒤, "그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각각의 변수가 목표치에서 얼마나 멀어졌는지, 그리고 목표에 도달하는 데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시장은 이 같은 매크로 이슈를 모두 소화하며 상승했다. 글로벌 관세 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비트코인은 투자 피난처로 손꼽히면서 상승세를 탔다.
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지침을 발표, 특정 유형의 달러 연동 토큰은 위원회의 관점에서 증권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규제 친화 환경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났다.
여기에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 아서 헤이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가 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에 호재라고 분석했다.
그는 "일부 투자자들이 관세 조치로 겁을 먹고 도망칠 수 있지만, 나는 관세 조치를 사랑한다. 글로벌 불균형이 조정될 것이고, 그 고통은 돈을 찍어내는 방식으로 극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관세 발표 이후 2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한 이유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미리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연준은 경제 충격에 대응해 조만간 금리 인하와 양적 완화(QE) 재개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투데이/한종욱 기자 (onebell@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