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민 영구주택, 공공 주택사업 연계 추진…4월 말까지 복구계획 수립
고기동 중대본부장, 산불피해지역 부단체장 긴급 영상회의 주재 |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5일 "산불 피해지역의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위험목 제거와 조림 등 예방 사업을 조속히 실시하고 우기 전까지 산사태 등 토사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고 본부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산림청이 산불피해지역의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울산 울주군에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산사태 우려지역을 점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평가 결과에 따라 응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6월까지 복구를 완료하고, 항구복구도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1천972세대·3천274명이 임시 대피 중이다. 임시대피시설 생활을 접고 임시숙박시설로 옮긴 이들은 2천400여명이다.
산불로 인한 트라우마 등 심리 회복을 위해 진행된 심리지원 건수는 약 8천건이다.
정부는 오는 15일까지 진행하는 중앙 재난피해 합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기적이고 복구계획을 이달 말까지 세워 확정할 계획이다.
고 본부장은 "향후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은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주택사업까지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더 나아가 피해지역의 특성까지 반영한 공동체로 회복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과 재정 지원 내용까지 포함한 특별대책을 수립하겠다"고 약속했다.
shlamaze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