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8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 도착, 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인용함에 따라 제21대 대통령선거는 부득이하게 조기에 치러지게 됐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은 곧바로 경선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강성 보수층 사이에서 윤 전 대통령의 입지가 탄탄한 만큼 각 주자가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가 변수일 수 있단 분석이 나온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안철수 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원희룡 전 장관 등이 국민의힘 경선에 도전할 주요 인사로 거론된다. 또 최근 들어 나경원 의원, 윤상현 의원,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등도 물망에 올랐다.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사실상 독주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견제하려면 보수 진영이 합심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주요 인사 중 하나가 국민의힘에서 탈당해 대선에 출마할 경우 보수 표심이 분산돼 이 대표에게 승리를 내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앞서 지난해 7·23 전당대회 당시 국민의힘 인사들 간에 당권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진 바 있다. 전당대회가 ‘친윤·반한(親윤석열계와 反한동훈계)’ 대 ‘반윤·친한(反윤석열계와 親한동훈계)’의 구도로 짜이면서 계파에 따른 줄서기 양상이 일찍부터 나타났고, 4·10 총선의 책임이 누구 몫인지 평가도 기준으로 작용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헌재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이 발표된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에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가 ‘러닝메이트’ 방식 선거운동을 용인하면서 계파 싸움이 날이 갈수록 더 심화했다. 선의의 경쟁을 통해 당의 중책을 뽑자는 게 취지였지만, 오히려 당내 갈등을 부추겼다는 지적도 국민의힘 안팎에서 꾸준히 제기됐다.
파면된 윤 전 대통령이 강성 보수층의 큰 지지를 받는 점을 고려하면, 대권주자의 친윤 색채가 짙을 경우 ‘보수 결집’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경우 중도층 표심 공략은 어려울 수 있단 한계가 있다. 김문수 장관과 홍준표 시장, 나경원 의원, 윤상현 의원 등이 이에 해당하는 사례로 꼽힌다.
반대로 대권주자가 반윤 성향이 강할 경우 중도층의 표심은 잡을 수 있으나, 강성 보수층이 주력인 당심을 확보하지 못하는 게 관건이다. 대선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하더라도 정부와 당의 관계가 어색할 수 있단 우려도 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냈던 4명(한동훈·안철수·오세훈·유승민)도 이를 고려, 신중한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지난 4일부터 곧바로 21대 대선 예비 후보자 등록을 시작했다. 헌법 제68조2항에 따르면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뽑아야 한다. 오는 6월 3일이 시한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