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자오셰, 워싱턴 방문…비공식 '특별채널' 재가동
양안 살얼음판·미중관계 악화 속 회담 결과 시선집중
왼쪽부터 우자오셰 대만 국가안전회의(NSC) 비서장과 라이칭더(賴淸德) 총통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대만 안보수장이 미국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비공개 고위급 회담을 갖는다.
양국 간 고위급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처음으로, 무역전쟁으로 미중 관계가 악화하고 중국의 대만 포위 훈련으로 양안 관계가 극도로 긴장된 상황에서 어떤 논의가 오갈지 주목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4일(현지시간) 우자오셰 대만 국가안전회의(NSC) 비서장이 이끄는 대표단이 '특별채널' 회담을 위해 워싱턴DC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지난 1979년 중국과 관계를 정상화한 이후 대만과 공식적인 관계는 단절했지만, 비공식 채널은 계속 유지해왔다.
특별채널 회담에는 통상 미국 측에서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당국자 등이 참석한다.
루머는 알렉스 웡 NSC 수석 부보좌관과 이반 카나파시 NSC 아시아 담당 국장도 표적으로 삼았는데, 이들이 비밀채널 회의 참석 대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운동에 참여했던 인사들은 신보수주의자로 간주되거나 미국의 군사력을 기꺼이 사용하려는 NSC 당국자들을 '숙청'하려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악관은 이와 관련한 언급을 거부했고, 한 당국자는 FT에 카나파시가 여전히 NSC에서 근무 중이라고 전했다.
당시에도 미국은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대만과 회담 사실 자체를 공식적으로 확인해주지는 않았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는 '하나의 중국'을 타협할 수 없는 대외정책 원칙으로 내세워 이에 어긋나는 외국의 행보에 극도로 예민한 반응을 보여왔다.
대만과 미국의 은밀한 회담 속에 중국은 지난 1일부터 이틀간 대만 포위훈련을 실시해 대만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였다.
eshin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