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선고 이후 맞는 첫 주말
서울 도심 곳곳서 집회 이어져
서울시 ‘시민안전대책본부’ 운영
서울 도심 곳곳서 집회 이어져
서울시 ‘시민안전대책본부’ 운영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선고된 다음날인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에서 찬반집회가 열렸다. 왼쪽은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축하하는 비상행동 집회, 오른쪽은 대국본의 탄핵 반대 집회의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이튿날인 5일 거센 바람과 폭우에도 서울 도심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에 불복하거나 축하하는 집회가 개최됐다.
이날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에서 대한문에 이르는 광화문 일대에서는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대국본)와 자유통일당이 ‘국민저항권 광화문 국민대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국민저항권에 근거한 시민불복종 투쟁을 전개해 헌재의 대통령 파면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찰에 신고된 집회 참가 인원은 20만명이었지만 이날 집회에는 오후 2시 기준 1만8000명(경찰 비공식 추산)이 참가했다. 주최 측은 100만여명이 모였다고 주장했다. 한편 탄핵 반대를 주장한 기독교 단체 세이브코리아는 이날 오후 1시 여의도에서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헌재의 파면 선고 직후 취소했다.
5일 대국본이 주최한 ‘국민저항권 광화문 국민대회’에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우산과 우비를 쓰고 모였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집회 내내 비가 내리면서 집회 참가자들은 ‘반국가세력 척결한다’ ‘국민저항권 발동’ 등의 문구가 적힌 피켓을 우산에 붙였다. 이들은 “사기 탄핵 원천무효”, “헌법재판소를 해체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윤 전 대통령의 복귀를 요구했다.
부정선거와 조기 대선에 대한 주장도 나왔다. 유튜브 ‘신의 한수’를 운영하고 있는 신혜식 씨는 “오늘은 광화문에 모두 모여 잘못된 사기 탄핵에 대해서 한 목소리를 내야하는 것 아니냐”며 “부정선거 규명 없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명예회복도 차기대선도 말짱도루묵”이라고 말했다.
5일 비상행동에서 주최한 ‘윤석열 즉각퇴진 사회대개혁 18차 범시민대행진’에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축하하는 탄핵 찬성 지지자들이 우산과 우비를 쓰고 모였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찬성을 주장해온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경복궁 일대에서 ‘윤석열 즉각퇴진 사회대개혁 18차 범시민대행진’을 개최했다. 같은 시각 촛불행동도 시청역 앞에서 ‘134차 촛불대행진’을 열어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자축하고 탄핵을 환영했다.
이날 비상행동 집회에 참석한 국회 측 탄핵소추위원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은 “헌법의 적을 헌법으로 물리쳐 준 헌법재판소에, 민주주의의 적을 민주주의로 물리쳐 준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피로 쓴 역사를 혀로 지울 수 없고 피로 쓴 헌법을 그 누구도 파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탄핵 선고 이후 맞는 첫 주말에 광화문광장, 대한문 일대 등 도심 곳곳에서 탄핵 관련 집회가 진행되며 서울시는 ‘주말 도심 집회 안전대책’을 가동하고 있다. 6일까지 집회 안전관리 컨트롤타워인 ‘시민안전대책본부’ 운영도 유지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