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 한국의 여권지수 순위가 6년 사이 곤두박질치며 39위까지 밀려났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여권은 컨설팅업체 노마드캐피탈리스트가 발표한 ‘2025 여권 지수’에서 39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32위보다 7계단 하락한 것이다.
한국은 코로나 시기인 지난 2020년 11위에 올랐다. 2021년 12월 차세대 전자여권이 도입되며 2021년과 2022년 12위를 유지했지만 2023년부터 21위로 내려서며 낙폭이 커졌다.
측정 항목은 ▷비자 없이 여행할 수 있는 국가 수(50%) ▷세금 정책(20%) ▷국제적 인식(10%) ▷이중 국적 취득 가능성(10%) ▷개인의 자유(10%) 등 5가지다.
평가 점수는 10점에서 50점 사이로 매겨졌는데, 비자 항목만 예외적으로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국가 수로 표시됐다.
1위는 아일랜드였으며 스위스와 그리스가 공동 2위, 포르투갈이 4위였다. 몰타와 이탈리아가 공동 5위였다.
일본은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37위에 올랐다. 중국은 119위, 북한은 192위였다.
이 지수는 전 세계 199국의 무비자 협정 체결 현황을 기준으로 분석한 것으로, 한국은 192국과 무비자 협정을 맺고 있다. 싱가포르는 195국과 협정을 체결해 1위였고 2위는 193개국의 일본이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