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이 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야권 통합 대선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을 다시 제안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틀 뒤인 6일, 조국혁신당이 압도적 정권 교체를 위해 ‘야권 통합 대선 완전국민경선’을 치르자고 더불어민주당에 거듭 제안했다. 혁신당은 조기대선 일이 정해질 것으로 보이는 다음주 안으로 민주당이 답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
김선민 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야권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다시 제안한다. 다가오는 대선에서 민주 진보 진영이 압도적 승리를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혁신당이 지난달 4일 처음 제안한 완전국민경선제는 ‘내란 세력’을 뺀 모든 정당과 시민사회에서 후보와 공약을 내고, 3차례 경선을 거쳐 국민이 직접 후보와 공약을 각각 뽑는 방식이다. 야권 통합 후보를 뽑아 압도적 정권 교체를 이뤄내고, 별도의 공약 투표를 통해 광장의 다양한 요구를 받아내자는 구상이다.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야권 대선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 방안. 조국혁신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야권 대선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 방안. 조국혁신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혁신당은 조기 대선이 확정된 지금 완전국민경선제를 다시 제안한 이유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뒤 치러진 19대 대선을 언급했다. 당시 문재인 정부 출범 과정에서 연정 논의가 흐지부지된 것이 문 정부의 정치적 실패와 윤석열 정부의 탄생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김 권한대행은 “2017년 탄핵 이후 일시적인 ‘촛불 연합’을 안정적인 다수 연합으로 전환했더라면 내란 세력의 출현은 없었을 것”이라 했고, 같은 당 신장식 의원도 “2017년 대선은 광장에서 함께한 ‘저항 연합’이 선거 연합, 통치 연합으로 발전하지 못하며 근본적인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게 많은 정치학자들의 평가”라고 짚었다.
혁신당은 ‘선거인단을 모집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역선택 우려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황현선 대선기획단장은 “2017년 민주당 (대선) 경선 때 국민 참여 선거인단을 모집했었다. (이번에도) 민주당 경선 일정에 모든 정당이 같이 들어가면 충분히 가능하다”면서 “(이번에) 민주당이 선거인단을 모집할 때 역선택 방지 장치를 할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혁신당은 조기대선 일이 정해질 것으로 보이는 다음 주 안으로 민주당이 완전국민경선 추진 여부에 대한 답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 만일 이렇다 할 답이 없을 경우 혁신당 독자 후보를 낼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황 단장은 “보통 정권을 잡으면 여당 하나에 다수 야당이지만, 오픈 프라이머리를 통해 후보가 선출되면 다수 여당과 한개의 야당이 된다”며 “다수 연합으로 국정 안정을 도모하고 내란 체제를 종식할 것인지, 아니면 민주당이 단독 여당이 되고 나머지를 모두 야당으로 돌려놓을 것인지 선택할 시간”이라고 말했다.
김채운 기자 cwk@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