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택시 공급 더해 주행 데이터 '공유'
아이오닉5 '웨이모원' 주행 데이터 확보
SDV 분야 테슬라·BYD 추격 본격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자동차가 세계 자율주행 1위 업체인 웨이모와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 공동 개발에 나선다. 웨이모의 로보택시로 내정된 현대차(005380)의 아이오닉5가 실제 도로를 주행하며 쌓은 데이터로 AI 알고리즘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현대차는 로보택시 사업을 발판으로 테슬라와 비야디(BYD) 등 자율주행에서 앞선 경쟁사들을 빠르게 추격할 계획이다.
6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웨이모가 자율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양사의 자율주행 기술 협업은 현대차가 웨이모에 로보택시를 공급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웨이모의 6세대 완전 자율주행 기술 '웨이모 드라이버((Waymo Driver)'를 아이오닉5에 적용해 로보택시 ‘웨이모 원(Waymo One)’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현대차와 웨이모는 올 해 말 웨이모 드라이버를 탑재한 아이오닉5를 실제 도로에서 주행 시험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두 회사는 단순히 로보택시용 차량을 제공하는 파운드리 협업에서 나아가 자율주행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는 사업까지 진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와 피닉스, 로스앤젤레스(LA), 오스틴 등 9개 도시에서 실제 무인 로보택시를 운영하며 약 6억 4000만㎞(4억 마일) 누적 주행거리 데이터를 쌓고 있다. 테슬라는 풀셀프드라이빙(FSD) 서비스를 통해 50억 ㎞(30억 마일) 이상 데이터를 축적 중이다. 중국의 바이두도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사실상 규제가 없는 도로에서 24시간 달리며 1억 ㎞ 이상 로보택시를 운행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웨이모와의 협업은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체증을 뚫어줄 전망이다. 현대차는 웨이모에 단순히 아이오닉5를 공급하는 것에서 나아가 실제 운행될 로보택시의 주행 데이터를 공유 받는다. 두 회사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을 위한 AI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할 방침이다.
AI에 기반한 자율주행은 실제 주행 데이터를 알고리즘으로 훈련하는 강화학습이 필수다. 현대차는 모셔널의 로보택시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웨이모의 로보택시로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가 가능해진 셈이다. 로보택시로 쌓은 실제 주행 데이터를 엔비디아가 만든 물리 법칙이 적용된 가상 세계 ‘코스모스’에서 합성해 증폭할 길도 열린다.
구경우 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