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 실적 추이. 배민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배달앱 시장이 빠른 속도로 몸집을 불리고 있으나 출혈 경쟁이 격화되면서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배달의민족은 지난해 매출 4조원을 넘기며 시장 외형 확대를 주도했지만, 쿠팡이츠·요기요 등 경쟁사의 ‘무료 배달’ 공세가 이어지면서 업계 전반의 수익성에는 경고등이 켜진 모습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배민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3조4155억원)보다 26.6%가 늘어난 4조3226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8.4%가 줄었다. 외주용역비가 매출의 절반 이상 규모인 2조2369억원으로 무려 73.4% 치솟으며 매출 성장률을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외주용역비는 라이더 배달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배민의 영업비용은 3조6818억원으로 전년(2조7156억원) 대비 35.6%가 늘었다. 즉, 지난해 무료배달 등으로 소비자가 유입되며 매출이 약 8000억원 가량 늘었지만, 관련 비용 또한 1조원 가량 증가하며 수익성이 크게 줄었다는 의미다.
이같은 상황은 요기요도 마찬가지다. 요기요 운영사 위대한상상의 지난해 매출은 2752억원으로 전년 대비 3.7%가 늘었지만 43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쿠팡이츠의 정확한 영업비용은 알 수 없지만 최근 대규모 마케팅 등을 감안할 때 상당한 비용이 투입됐을 것이라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무료배달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플랫폼이 소비자가 부담하던 라이더 비용을 대신 지급하는데, 매출이 늘어나는 속도보다 비용이 증가하는 폭이 더 크다"라며 "무료배달이 늘어날수록 매출이 증가하지만, 비용은 더 늘어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 이후의 배달앱 호황이 정점을 지났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미 성장세가 조금씩 둔화되고 있는 국내 배달 앱 시장에서 출혈경쟁까지 이어지며 더 이상의 수익성 신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대폭 상승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글로벌 배달 플랫폼과는 정반대 상황이다. ‘미국판 배민’으로 불리는 북미 최대 음식배달 대행 스타트업 '도어대시'의 매출은 107억22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4% 이상 늘었고, 우버이츠 역시 매출이 137억5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12.7% 증가했다. 중국의 '메이투안'의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74.5%가 급증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