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상호관세 발효 D-3, 관세율 조정될까…"트럼프, 외국과 협상 관심 없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FT, 백악관 관계자 인용 보도…재무장관 "외국보다 기업과 논의가 더 중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플로리다주로 떠나는 마린원에 탑승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공식 발효를 앞두고 일부 국가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을 통한 관세 인하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한 관세 인하에 큰 관심이 없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외신은 전했다.

5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백악관 관리들을 인용해 "백악관은 현재 관세 집행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외국 정상 간 통화를 '관세 완화' 협상으로 오해해선 안 된다"며 외국 정부와의 관세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우선순위에 없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이 앞서 외국 정부와 협상으로 상호관세율이 조정될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우선순위는 '관세 부과'로 9일 상호관세 발효 전 관세 인하까지 이어지는 협상은 없을 거란 의미다.

캐나다와 멕시코 등 일부 예외 국가를 제외한 모든 국가의 수입품에 적용되는 이른바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관세인 기본관세 10%는 지난 5일 0시1분(한국시간 5일 오후 1시1분)부터 공식 발효했다. 미국이 지정한 '최악의 침해국'으로 분류되는 국가에 추가로 부과되는 상호관세는 9일 0시1분(9일 오후 1시1분)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기본관세를 포함한 25%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하워드 루트닉 상무 장관과 상호 관세율 차트를 들고 설명을 하고 있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FT는 "상호관세 발표 이틀 만인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과 또 람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가 전화 통화를 통해 관세 문제를 논의했지만, 백악관 관리들은 이것을 '관세 협상'이 아니라며 미국의 관세 완화 조건은 상당히 엄격하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람 총서기와 통화가 "매우 생산적이었다"며 람 총서기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베트남의 관세를 0%로 인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백악관 관계자들은 "외국 정상과 통화를 '협상'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이는 관세를 완화할 수 있는 본격적인 협상과 다르다"고 했다. 한 관계자는 "(미국은 현재) 다른 국가들과 구체적인 양보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 않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무역 적자"라고 말했다. 다른 고위 관계자는 "이것은 협상이 아니라 국가적 비상사태"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주요 미국 파트너들과의 조기 협상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는 지난 4일 보수 성향의 언론인 터커 칼슨과 인터뷰에서 "각국과의 논의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기업들과의 논의일 것"이라며 외국 정부와 협상을 통한 관세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이와 관련 IT(정보기술) 분야 베테랑 언론인 카라 스위셔에 따르면 미국 기술업계와 금융계 수장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문제를 논의하고자 대통령 사저가 있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빅테크인 '매그니피센트7'(애플·아마존·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테슬라)의 시가총액은 상호관세 발표 이틀 만에 1조8000억달러(약 2630조7000억원)가 증발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