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스마트폰 소식

“밤새 또 '숏폼' 봤어?”… 20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 심각 [수민이가 화났어요]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울증 수면 질 저하 등 건강 악영향

1~5분 사이의 짧은 동영상인 이른바 ‘숏폼’ 콘텐츠가 청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심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청년들이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사용해 우울증과 수면 질 저하 등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발표한 ‘2024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34%로 성인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다. 그 원인이 숏폼 때문이다.

1~5분 사이의 ‘숏폼’ 콘텐츠가 젊은 청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심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일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가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연구’ 최근호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인스타그램 ‘릴스’와 유튜브 ‘쇼츠’ 같은 숏폼 콘텐츠는 강한 중독성으로 인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이 생활 패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이를 조절할 능력이 감소해 우울, 수면 질 저하 등 문제가 발생할 정도에 이른 것을 말한다.

이 같은 문제가 특히 20대에서 두드러지는 이유는 자율성과 독립성이 강조되는 시기적 특성상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가 거의 없다고 논문은 설명했다.

서울 시내 한 중학교 앞에서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하교 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숏폼 콘텐츠가 20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바른 ICT 연구소 이건우 교수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된 한국미디어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 교수는 숏폼 서비스 도입 시기인 2021년 전후로 두 집단의 주당 OTT 이용 빈도 변화 정도를 분석해 숏폼 시청과 과의존 사이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숏폼 도입은 20대의 주당 OTT 이용 빈도를 약 1.7회 만큼 유의미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스타그램을 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 이 같은 특징이 명확히 드러났다. 이 교수는 일반적으로 OTT 이용 빈도가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은 증가해, 숏폼 콘텐츠 도입이 20대의 전반적인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증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일정 시간 시청 시 휴식을 권장하는 알림 기능을 도입하는 등 플랫폼 운영자의 사회적 책임과 20대 스스로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등 자기 조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숏폼이 메신저를 제치고 청소년이 평소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로 꼽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숏폼이 메신저를 제치고 청소년이 평소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로 꼽혔다.

여성가족부는 지난 1일 ‘청소년 매체이용·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9~11월 전국 초(4~6학년)·중·고교생 1만5053명을 온라인으로 조사한 내용이다.

최근 1년간 청소년들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매체(중복응답)는 숏폼 콘텐트(94.2%)로 집계됐다. 초등학생 1위, 중·고교생 2위로 고르게 상위권을 나타냈다. 그다음은 인터넷·온라인 메신저(92.6%), 인터넷 개인방송·동영상 사이트(91.1%)였다.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박사는 “연령이 낮아질수록 (동영상을) 긴 것을 보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청소년기 학습 등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