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를 발표할 때 사용한 차트에 한국의 관세가 25%(빨간 네모 안)로 표기돼 있다. 연합=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각국 대응이 분주해지고 있다. 즉각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거나 저자세를 취하며 대화에 나서는 등 두 갈래로 대응책이 엇갈리는 가운데, 세계 각국이 결국엔 중국을 미국의 대안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5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10% 기본관세가 전 세계에 발효됐다. 국가별 상호관세는 오는 9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한국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지정한 예외 품목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 이미 10% 기본관세가 부과됐고, 9일부턴 25%로 올라갈 예정이다.
34%의 상호관세를 포함해 총 54% 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은 즉각 보복 카드를 꺼내 들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4일 “오는 4월 10일을 기점으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국제 무역 규칙에 부합하지 않고, 중국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이유에서다. 또 미국 군수 기업 16곳에 대한 이중용도 물품(군수용·민간용 모두 사용 가능한 물품) 수출을 금지하는 한편, 희토류 7종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도 함께 발표했다.
20% 관세를 일괄 부과받은 유럽연합(EU)도 강경 조치를 예고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이번 조치가 초래할 막대한 결과를 직시해야 한다”며 “세계 경제는 엄청난 고통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EU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결렬되면 오는 13일부터 총 260억 유로(약 42조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추가적인 조치도 준비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대립이 아닌 대화로 나아가자”며 협상 여지는 열어놨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관세 전쟁을 펼치고 있다. 3일 플로리다 마이애미를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 지난달 5일 전인대 개막식의 시진핑 주석. 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론 중국도 이번 무역전쟁에 따른 경제적 타격은 상당할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이번 상호 관세 부과로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약 2%포인트 하락하고, 대미 수출은 약 60%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미국이 추구해온 ‘중국 고립 정책’이 사실상 와해되면서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상호관세 부과로 ‘황금 같은 기회’를 얻었다”며 “유럽 등 동맹국들은 미국의 ‘중국 고립’ 정책에 협력할 이유가 없어졌고, 이는 중국 의존도를 높이고 글로벌 경제 시스템에서 미국이 소외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상현 기자 na.sanghyeo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