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매매 점유율 2위와 1.4%P差
퇴직연금 전산시스템 구축 이전에
이달 중 금감원 만나 협의 ‘이례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키움증권(039490)이 퇴직 연금 사업 인가를 받기에 앞서 이 달 금융감독원을 만난다. 메리츠증권 등 경쟁사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리테일 1위의 아성이 흔들리면서 새 먹거리를 향한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6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키움증권은 퇴직 연금 사업자 등록과 관련해 금감원과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키움증권은 하반기 퇴직 연금 사업자 인가 신청, 올해 말 전산 구축, 내년 상반기 퇴직 연금 사업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퇴직 연금 사업은 엄주성 키움증권 사장이 주력하는 분야다.
키움증권이 퇴직 연금 사업을 위한 시스템 구축 전에 금융 당국과 협의를 거치는 것을 두고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통상 금융사가 금감원을 만나는 시점은 퇴직 연금 사업을 위한 전산을 모두 구축하고 금융위원회 인가 신청 전 최종 점검을 할 때이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퇴직연금 사업자 등록과 관련해 금융 당국과 미리 협의 후 준비를 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말했다.
다만 올해에도 지난해 만큼 수수료 수익을 올릴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그간 외화 증권(주식·채권) 위탁 매매 시장에서 압도적 선두를 달리던 키움증권은 지난해 토스증권에게 턱 밑까지 추격을 허용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키움증권과 토스증권의 위탁 매매 거래 점유율 격차는 1.42%포인트에 불과하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토스증권의 거래액이 112조 9513억 원으로 키움증권(85조 7885억 원)을 넘어섰다.
본업에서 흔들린 키움증권이 퇴직 연금에서 빠른 성과를 내기 위해 영업력을 강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퇴직 연금은 오프라인 영업망을 기반으로 한 법인 영업력이 중요하다”며 “온라인 중심인 키움증권이 퇴직 연금 분야에서 수익을 내기까지는 사업 시작 이후에도 수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병준 기자 econ_ju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