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글로벌 '관세전쟁'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동맹국과 함께 중국을 옥죄던 미국 무역정책 기조가 '각자도생'으로 빠르게 바뀌면서 중국이 수혜를 입고 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관세가 시진핑의 날을 만들었다'는 사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전쟁이 시 주석에게 전략적 선물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가장 큰 이유로는 중국을 견제하던 서방 동맹에 균열이 생겼다는 점을 꼽았다. 실제 지난 3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미국의 대(對)유럽연합(EU) 20%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잔인하고 근거 없는 결정"이라며 프랑스 기업의 대미 투자를 당분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같은 날 캐나다도 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또 서방 주요국들은 중국과 경제적 관계를 재정립하고 나섰다.
하지만 최근에는 동맹국들 사이에서 '친중국' 움직임이 빨라지는 모습이다. 지난달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고위급포럼(CDF)에는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87명이 참석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팀 쿡 애플 CEO, 아민 나세르 아람코 CEO, 크리스티아누 아몽 퀄컴 CEO, 올리버 칩제 BMW 회장, 앨버트 불라 화이자 CEO 등이 포함됐다.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 중국의 기술 발전과 독자 생태계 구축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관세장벽이 높아질수록 탄탄한 내수를 앞세워 중국 빅테크들의 기술 자립이 빨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관세전쟁이 '궈차오(애국 소비)' 바람을 또 한 번 일으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와 내수 진작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중국은 경제성장률 5%를 기록하며 연간 목표를 달성했지만, 소비와 내수 둔화는 중국 경기 회복을 가로막는 최대 장애물이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올해 최우선 업무 과제로 '내수 진작'을 꼽았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영향력을 넓힐 수 있다는 점도 관세전쟁 속 중국의 수혜 포인트 중 하나다. 미국은 동남아시아 국가에도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했다. 베트남 46%, 태국 36%, 인도네시아 32% 등이다. 이 같은 관세 폭탄이 현실화하면 동남아 주요국들은 대미 수출 의존도를 낮출 수밖에 없고 중국이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이 크다.
또 미국이 아프리카에 대한 원조를 대거 줄이면서 아프리카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외교부장(장관)은 지난 35년간 매년 첫 해외 일정으로 아프리카 방문을 택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우군으로 꼽히는 공화당 중진 의원이 관세정책 탓에 여당이 2026년 중간선거에서 참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5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텍사스)은 이날 본인 팟캐스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크루즈 의원은 "지구상의 모든 국가가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끔찍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미국이 경기 침체를 겪고 국민이 큰 고통을 겪는다면 유권자들은 여당을 처벌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심각한 불황에 빠지면 2026년 중간선거는 대참사가 될 가능성이 크다" 고 말했다. 현재 연방 하원은 공화당 220석, 민주당 213석이다. 상원은 공화당이 53석으로 과반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