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대선 돌입 ‘숨고르기’
당 대표 신분… 일단 ‘정중동’ 행보
집권플랜 본부 등 일찌감치 꾸려
대선 준비 여유… 서두를 것 없어
“대선 1년 전 대표 사퇴” 규정에
특별 당헌·당규 개정 절차 필요
대세론에 경선흥행 저조는 고민
당 내부에서는 당 대선 경선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등 실무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당대표 신분을 유지하고 있는 이 대표가 당장 대권 행보에 뛰어들 수는 없는 상황인 만큼 ‘정중동’ 행보에 무게가 실리는 모양새다. 이 대표는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가 있던 지난 4일 국회에서 ‘긴급 입장 발표’를 한 뒤로 5일과 6일 별도의 공개 일정을 잡지 않고 잠행했다.
대선시계 ‘째깍째깍’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자신의 손목시계를 보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가 이르면 8일 조기대선 날짜를 정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 대표는 조기대선 날짜가 정해진 직후인 8일이나 9일쯤 당 대표직에서 사퇴하고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서는 이 대표가 9일 당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면서 사퇴를 선언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민주당은 당헌에서 당대표가 대통령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때에는 대통령선거일 전 1년까지 사퇴하도록 정해 당권과 대권을 분리해두고 있다. 다만 지난해 6월 당헌 개정을 통해 ‘특별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당무위원회의 의결로 당대표 및 최고위원의 사퇴 시한을 달리 정할 수 있다’고 당헌을 개정한 바 있어 당무위 의결 등을 통해 대표직에서 사퇴하고 대선에 출마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 대표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특별 당헌·당규 개정 등 여러 절차와 준비 등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가 대표직에서 사퇴할 경우, 지도부 총사퇴 가능성과 박찬대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대선까지 당을 이끄는 방안 등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직을 연임한 이 대표를 중심으로 당 체제를 변화시켜 왔고, 대선을 위한 움직임도 차근차근 진행돼 왔다는 평가다. 당 내부에서는 당 공식 조직이 곧 이 대표 대선 캠프 조직이라는 평가도 공공연하게 나올 정도다. 지난해 10월 최고위 산하에 김민석 최고위원을 본부장으로 ‘집권플랜본부’를 설치해 운영해오고 있고,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에는 정치·경제·사회 각 분야에서의 위원회를 설립, 확대·개편하며 전국 단위 조직을 정비해왔다. 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산하 정책 소통 플랫폼 ‘모두의질문Q’는 대선 공약 밑그림을 담은 ‘녹서’(그린 페이퍼) 작업을, 이 대표가 공동의장을 맡은 민생경제연석회의도 지난해 11월부터 사실상의 대선 공약을 위한 정책 작업을 진행해 오는 중이다. 이 대표 역시 경제·외교안보 분야 등에서 ‘우클릭’ 행보를 보이며 대선 준비에 돌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내에서는 한 권한대행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강경 일변도의 거대 야당의 이미지보다는 ‘수권 정당’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내부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