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 폭격속 기업들 ‘생존전략’
현대차 “美고객들에 안정감 제공”… 포드 “할인 확대” 관세 역이용 나서
반도체 시장 ‘트럼프 불확실성’ 증폭… 스마트폰 업계 ‘베트남 대체’ 고심
● 가격·생산 전략 엇갈리는 車 업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모빌리티는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의 연간 일반 자동차 판매량이 2024년 1600만 대에서 몇 년 내 1450만∼1500만 대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당장 미국 내 신차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차 업계는 각기 다른 생존 전략을 펴고 있다.
현대자동차 미국법인은 4일 공식 성명을 통해 “2025년 6월 2일까지 두 달간 현재 모델 라인업의 권장소매가(MSRP)를 인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당분간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 압력을 자체 부담하겠다는 것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우리는 소비자들이 가격 상승 가능성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앞으로 몇 개월 동안 그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일부 자동차 제조사들은 더 극단적인 대응책으로 수출 자체를 중단하는 결정을 내렸다. 영국의 재규어 랜드로버(JLR)는 4월 한 달간 미국으로의 모든 차량 수출을 일시 중단했다. 일본 닛산 역시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일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의 미국 주문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 반도체·전자기기 업계도 추가 관세 공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도체 칩은 상호관세 품목에서 제외됐지만 이를 기반으로 제조된 메모리 모듈과 SSD는 관세 대상에 포함돼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메모리 모듈과 SSD는 각각 한국의 대미 수출액 3위와 6위 품목이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3일 “반도체 관세 부과도 곧 이뤄질 것”이라고 다음 타깃으로 예고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도 휘청거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는 4일 각각 2.60%와 6.37% 하락했고, 미국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도 5∼8%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관세 여파로 미국 내 인공지능(AI) 서버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스마트폰 공급망에 대한 우려도 커진다. 미국 현지 아이폰 가격이 30∼40% 뛸 것이란 분석이 나오면서 일각에선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 같이 ‘애플 제품 유예’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제기된다. 삼성전자로선 최대 경쟁사와 비교해 차별적 관세를 적용받게 될 수도 있는 셈이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절반 이상이 생산되는 베트남에 46%의 관세가 부과돼 대체 생산기지로의 물량 이전도 검토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해 즉각적인 생산라인 이전은 어렵다”며 “향후 관세 협상 과정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