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안 아닌 '살생안'…배민, 포장 수수료 도입①]
배달의민족 "오는 14일부터 포장 주문도 수수료 받겠다"
하루 12만 원 포장 주문…수수료만 1년에 약 600만 원
점주들 "포장 혜택 줄이고, 음식 가격 올릴 수밖에 없어"
자체 배달·공공앱 무용지물…대안도 없는 점주들 '울상'
이제는 배달앱 없는 일상을 상상하기 어려운 시대다. 그러나 업계 1위 배달의민족(배민)이 배달에 이어 포장에도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점주들은 "남는 게 없다"고 하소연하며, 이 부담이 외식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소비자 피해로 연결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달앱의 편리함 이면에 숨겨진 문제들을 들여다본다.
배달의민족이 오는 14일부터 포장 주문에 대해서도 6.8%의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남성경·박수연 크리에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글 싣는 순서 |
①[르포]"배민 욕심 이정도일 줄이야"…'포장수수료 폭탄' 앞둔 점주들 절규 (계속) |
배민을 통해 포장 주문이 들어온다. 가게 점주가 분주히 음식을 조리하고 행여나 음식이 새지 않게 꼼꼼히 포장한다. '딸랑' 문이 열리고 손님이 가게에서 직접 음식을 가져간다. 포장 주문에서 배민의 역할은 고객의 주문을 가게에 전달하는 역할뿐이다.
"포장하시던 분들은 안 하게 되고, 더 비싸게 주고 시켜 드시는 거죠. 피해는 업주랑 소비자가 보는 거죠. 배민은 배만 부르고"
무료 프로모션을 연장해 온 배민이 난데없이 오는 14일부터 포장 주문에 대해서도 중개 명목의 '포장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배민의 잇속에 점주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CBS노컷뉴스 취재진이 만난 가게 점주들은 "배민의 수수료 정책이 도를 넘었다"며 분노를 표출했다.
점주들 울분 "배민, 이렇게 욕심을 내야 하나"
서울 은평구에서 5년째 닭발 가게를 운영 중인 김준형(35)씨. 남성경·박수연 크리에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은평구에서 5년째 닭발 가게를 운영 중인 김준형(35)씨는 가게를 시작할 때부터 모든 배달 플랫폼을 이용했다. 5년이 지난 지금, 월 기준으로 배달 플랫폼을 통한 매출이 85%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배민과 쿠팡이츠를 통한 주문이 대다수다.
김씨는 처음 배민의 포장수수료 부과 정책을 듣고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고 한다. 배민의 욕심이 이 정도일 줄 몰랐다는 것이다. 김씨는 "지금도 굉장히 많은 수익을 내고 있는 배민이 포장이라는 부분까지 수수료를 받고 욕심을 낸다는 것 자체에 많이 놀랐다"고 밝혔다.
배민 플랫폼을 통해 하루에 약 12만 원 정도의 포장 주문이 발생하고 있는 김씨의 경우, 14일 이후부터는 한 달에 약 50만 원, 1년으로 계산하면 약 600만 원의 수수료를 배민 측에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포장 주문이 주를 이루면서도 음식 단가가 낮은 샐러드, 반찬 가게, 패스트푸드 업종이 직격타를 맞게 될 것이라는 게 김씨의 설명이다.
김씨는 그러면서 "식자재 가격 인건비 상승은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면서도 "이 정도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걸 알았다면 가게를 차리지 않았을 거다"라고도 털어놓았다.
혜택 없어져…피해는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배민의 포장 수수료 부과에 따른 피해는 소비자도 나눠지게 된다는 게 업주들 주장이다. 포장 수수료는 점주들에게 부과되지만, 수수료 부담을 못이긴 점주들이 포장에 대해서 제공하고 있던 기존 혜택을 유료화하면, 자연스럽게 음식 가격이 인상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경기도 안산에서 중국집을 운영하는 이진성(33)씨. 남성경·박수연 크리에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안산에서 중국집을 운영하는 이진성(33)씨는 결국 포장 수수료가 부과되면 포장 주문 자체가 들어오지 않게 될 거라고 지적한다.
이씨는 "이제껏 배달 대신 직접 포장을 이용하는 손님들한테 2천 원 할인이나, 콜라를 서비스로 드렸는데 6.8% (포장)수수료를 내야 되면 그런 혜택들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며 "포장 할인도 없어지고, 또 무료 배달이라면 당연히 집에서 시켜 드시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앞서 김씨도 "포장을 하시면 저희 같은 경우는 제가 부담하는 배달료 만큼은 소비자분들께 전부 다 빼드리고 서비스도 더 넣어드리고 있다"며 "포장 수수료가 부과되면 피자집에서 핫소스를 무조건 돈 주고 사야 되거나 단무지를 유료화하는 변화들이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점유율이 무기' 플랫폼의 횡포…"대안도 없어"
배달의민족이 오는 14일부터 포장 주문에 대해서도 6.8%의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남성경·박수연 크리에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두 가게 모두 인터뷰가 진행되는 약 1시간 30분 동안 배달 주문이 물밀 듯이 들어왔다. 잘 꾸며진 가게 내부 인테리어가 무색하게 가게에 직접 음식을 먹으러 오는 손님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점주들이 배민 앞에 꼼짝할 수 없는 이유가 느껴졌다.
그는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땡겨요' 등 지역 공공 배달앱은 수수료가 2%대로 굉장히 낮다"면서도 "배달 주문 손님 중 배민이 한 60~70% 정도 되고, 쿠팡이츠와 요기요가 나머지를 나눠 가지고 있는 형국"이라고 푸념했다. 땡겨요 등 공공 배달앱을 이용하는 소비자 숫자 자체가 매우 적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비싼 수수료를 내고 배민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배달의민족이 오는 14일부터 포장 주문에 대해서도 6.8%의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남성경·박수연 크리에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이씨는 직접 배달기사를 고용하고, 전단지를 돌리면서 직접 가게 주문하면 더 저렴한 가격에 음식을 시킬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그럼에도 가게에 직접 포장을 문의하는 손님들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씨는 "2천원 더 저렴한 가격이 적힌 전단지는 3년 전에 돌렸는데 누가 들춰보지도 않고 그 자리에 있다"며 "전화 주문은 하루에 2건도 안 된다"고 말했다.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