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재편되는 검색 시장…UGC 기반 차별화 나선 네이버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 변화 주목…네이버 65.8% vs 구글 27%
네이버 'AI 브리핑' 결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지난해 12월 구글의 'AI 개요'가 국내 출시된데 이어 네이버(035420)가 'AI 브리핑'을 정식 출시했다. 국내 검색 시장에서 치열한 인공지능(AI) 경쟁이 시작되고 있다.
7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달 27일 AI 브리핑을 정식 출시했다. 검색어에 따라 AI가 요약한 정보를 화면 상단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생성형 AI 기술을 검색 서비스에 본격 접목했다.
네이버의 AI 브리핑은 생활 밀착형 주제에서 풍성한 정보를 제공한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도쿄 여행'을 검색하면 라멘 맛집, 야경 명소, 호텔 추천 등 다양한 블로그와 카페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정보가 AI로 정리해준다.
풍부한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가 있다는 점은 구글이 따라가지 못하는 네이버만의 강점이다. AI 정보는 블로그, 카페, 숏폼(짧은 동영상)으로 보여주며 쇼핑·지도 서비스까지 이어진다.
구글 'AI 개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글의 AI 개요는 정보성 콘텐츠에 강점을 보인다. 예컨대 'AI 관련주'를 검색하면 종목 정보, 투자 방법, 투자 유의사항 등을 정리해준다. 네이버에서는 AI 관련주 광고부터 뜬다.
일각에서는 이미 검색 결과 자체가 꾸준히 고도화되면서 AI 브리핑의 실효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여전히 AI 요약 결과에 일부 환각도 있어서 중요한 정보는 한 번 더 찾아봐야 한다.
전문가들은 생성 AI가 검색에 접목되는 초기 단계로 검색 경험의 새로운 국면이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용자 의도와 맥락을 반영한 '탐색 기반' 검색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이사회 의장도 지난 3월 26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검색의 시대가 저무는 것이 아니라 확장되고 있다"며 AI 검색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3월 검색시장 점유율 (인터넷트렌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글과 치열하게 검색 시장 점유율을 다투고 있는 네이버가 'AI브리핑' 출시를 발판으로 성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을지 기대가 모인다.
e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