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런 가운데 미국 전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미국 시민들은 관세 정책 때문에 증시가 폭락했고, 물가도 오를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떼야한다고 외쳤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버티면 이길 것이라고 사람들을 진정시키려고 했지만, 측근인 머스크 마저 관세에 반대하는 발언을 대놓고 해서 논란입니다.
뉴욕 김범주 특파원입니다.
<기자>
동쪽 보스턴에서, 중부 시카고와 미네소타, 서쪽 끝 로스앤젤레스까지, 현지 시간 토요일을 맞아서 미국 전역 천 3백 곳 이상에서 진보 단체가 주도한 반 트럼프 시위가 열렸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는 나가라.]
시민들은 '손을 떼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관세 부과부터 공무원 해고, 복지 예산 삭감 등등 현 정부 정책들을 비판했습니다.
[시위 시민 : 국민을 배신했고 동맹을 배신했습니다. 우리를 팔아넘기고 있습니다. 범죄자예요. 당장 쫓아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관세 문제와 관련해서, 쉽진 않겠지만 버티라면서 결국 미국이 승리할 것이라는 글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관세 발표 이후 재산 중에 우리 돈 16조 원을 잃은 최측근 일론 머스크부터 유럽과 관세 없이 무역을 해야 한다면서 공개적으로 반발했습니다.
[일론 머스크/미 정부효율부 수장 : 제 생각으로는 유럽과 미국은 모두 무관세로 가야 합니다. 저는 대통령께 확실히 그렇게 조언했습니다.]
머스크는 또 관세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을 놓고도, 두뇌는 없고 자존심만 있다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
연금을 주식시장에 투자해 둔 노년층과 보복관세 표적이 되고 있는 농촌 지역 주민들까지, 주 지지층도 동요하고 있어서 트럼프 대통령이 풀어야 할 정치적 과제가 쌓여가는 분위깁니다.
(영상취재 : 이상욱, 영상편집 : 김진원)
김범주 기자 news4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런 가운데 미국 전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미국 시민들은 관세 정책 때문에 증시가 폭락했고, 물가도 오를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떼야한다고 외쳤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버티면 이길 것이라고 사람들을 진정시키려고 했지만, 측근인 머스크 마저 관세에 반대하는 발언을 대놓고 해서 논란입니다.
뉴욕 김범주 특파원입니다.
<기자>
동쪽 보스턴에서, 중부 시카고와 미네소타, 서쪽 끝 로스앤젤레스까지, 현지 시간 토요일을 맞아서 미국 전역 천 3백 곳 이상에서 진보 단체가 주도한 반 트럼프 시위가 열렸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는 나가라.]
[시위 시민 : 국민을 배신했고 동맹을 배신했습니다. 우리를 팔아넘기고 있습니다. 범죄자예요. 당장 쫓아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관세 문제와 관련해서, 쉽진 않겠지만 버티라면서 결국 미국이 승리할 것이라는 글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관세 발표 이후 재산 중에 우리 돈 16조 원을 잃은 최측근 일론 머스크부터 유럽과 관세 없이 무역을 해야 한다면서 공개적으로 반발했습니다.
머스크는 또 관세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을 놓고도, 두뇌는 없고 자존심만 있다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
연금을 주식시장에 투자해 둔 노년층과 보복관세 표적이 되고 있는 농촌 지역 주민들까지, 주 지지층도 동요하고 있어서 트럼프 대통령이 풀어야 할 정치적 과제가 쌓여가는 분위깁니다.
(영상취재 : 이상욱, 영상편집 : 김진원)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