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통계청 인구동태코호트 활용 전국 최초 승인통계
1983년~95년생 233만6천명 중 56.7%가 미혼
30세 미혼율 7년새 14.5% 급증, 만혼·비혼 뚜렷해져
비혼 현상이 만연해진 한국 사회 모습을 생성형AI로 구현했다.(사진=ChatGP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7일 경기도가 발표한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경기도에 거주하는 27~39세(1983~95년생) 233만6000명 중 56.7%가 미혼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남성의 미혼율이 64.5%로 여성(48.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0세 미혼율은 2015년 61.6%에서 2022년 76.1%로 7년 만에 14.5%포인트 상승했는데 특정 나이(세대)에서의 급증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미혼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만혼과 비혼 현상을 통계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출생신고서를 바탕으로 경기도 1983~95년생 여성의 출산현황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2022년 기준 출생자녀가 없는 경우가 60.2%로 나타났다. 결혼을 했어도 출산을 하지 않는 ‘기혼 무자녀 여성’도 24.3%로 나타나 결혼과 출산이 더 이상 일반적인 선택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다수가 여성이고, 대기업과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제도 활용의 불균형을 보여주기도 했다.
경기도 인구정책담당관은 통계청 인구동태코호트DB에 각종 통계등록부를 결합해 경기도 거주 1983~95년생의 혼인·출산·육아휴직 현황을 파악하는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를 개발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시군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를 추가적으로 개발해 시군 인구정책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또한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조성을 위한 인구문제 인식개선 사업에도 해당통계를 활용해 청년세대의 가족형성 환경조성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라고 전했다.
(자료=경기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