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각국 정상들도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나섰습니다. 일본과 베트남이 협상에 나섰는데 하지만 대통령이 없는 지금, 우리에게 협상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공다솜 기자입니다.
[기자]
24%의 상호 관세가 부과된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46% 고율의 관세가 매겨진 베트남도 권력 서열 1위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이 파격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직접 협상에 나섰습니다.
관세를 발표한 지 이틀 만인 지난 5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며 '그는 미국 제품에 매기는 관세를 0%로 낮추고 싶다고 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도 오는 9일, 미국 측이 일방적으로 매긴 25% 관세 폭탄 발효를 앞두고 있는 상황.
우리 정부는 지금까지 한미 FTA로 양국이 사실상 관세가 없다고 해명해 왔지만 정작 미국 정부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박상현/iM증권 연구원 :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이 정상끼리 만나서 문제를 푸는 방식을 좋아하는 스타일이어서 우리나라가 좀 어려운 처지에 있지 않을까. 신정부가 들어올 때까지는 또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들이고요.]
정부는 이차 전지, 석유화학 등 관세 타격이 큰 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대책 마련에 나설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홍여울 / 영상디자인 유정배 신하림]
공다솜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