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32% 美관세' 대만 총통 "보복관세 안해…USMCA 참고해 협상"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역흑자 축소 위해 대미 투자확대 및 비관세장벽 제거 등 추진

라이칭더 대만 총통. 2025.03.14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경민 기자 =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6일(현지시간)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대만은 보복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AFP 통신에 따르면 라이 총통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만에 부과한 32%의 상호관세에 대해 "불공정하고 매우 비합리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만은 새로운 관세로 피해를 본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27억 달러(약 4조 원)를 책정했다.

라이 총통은 "우리는 미국이 대만이 미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바를 분명히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며 미국과 협상하기 위한 전담팀을 구성했다고 전했다.

그는 "관세 협상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모델을 참고해 시작될 수 있다"며 "대만과 미국 간 무관세(zero tariffs) 개념에서 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대만은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해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미국 내 투자 증가, 비관세 장벽 제거, 시장 다변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만 경제는 "상당한 회복력을 갖추고 있다"며 대만 국민에게 "공포에 빠지지 말라"고 촉구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만에 32%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대만의 미국에 대한 무역 흑자는 2024년 기준 739억 달러로 전 세계에서 7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대만의 대미 수출의 약 60%는 반도체 칩을 포함한 ICT(정보통신기술) 관련 제품이다.

반도체는 현재로선 트럼프의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 다만 트럼프는 대만이 미국의 반도체 산업을 훔쳤다고 주장하며 대만산 반도체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위협한 바 있다.

km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