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폭탄 여파는 이미 글로벌 금융시장을 흔들어놓고 있다. 미국의 34% 상호관세 부과에 중국이 똑같이 맞불 관세를 놓자 뉴욕증시는 이틀 만에 시가총액 6조6000억달러(약 9600조원)이 증발했다. 코로나 팬데믹 초기였던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낙폭이다. 시장은 트럼프발 관세전쟁을 ‘팬데믹 쇼크’보다 더 큰 위기로 받아들이고 있는 셈이다. JP모건은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이전 1.3%에서 -0.3%로 낮춰잡았다.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가 본격화할 조짐이다.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엔 최악의 상황이다. 미국과 중국은 1, 2위 최대 교역국으로, 어느 쪽으로든 타격이 막대하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핵심 산업은 중간재를 중국에 수출하고, 중국에서 완제품을 생산해 미국에 판매하는 구조다. 관세전쟁이 격화되면 관세 이중 부담, 수출 경로 붕괴, 실적 악화의 ‘3중고’가 한꺼번에 덮친다. 실제로 상호관세가 현실화되면 한국의 수출이 13% 급감하고 국내 부가가치도 10조원 이상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그럼에도 정부의 대응은 미흡하기만 하다. 국정 공백 속에 외교적 협상력도, 재정적 대응도 시원한 게 없다. 24% 관세를 맞은 일본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트럼프와 전화 협의를 추진하고 있고, 베트남은 협상을 통해 관세를 0%로 낮추겠다며 관세 부과 연기를 요청한 상태다. 미 행정부에 따르면 50여개 나라가 협상하겠다고 줄을 섰다고 한다. 한국도 더 늦기 전에 통상전문가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산업계가 함께 피해를 최소화할 선택지를 마련해야 한다. 대선정국이라고 손 놓고 있을 일이 아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