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여파로 그야말로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습니다.
중국 증시도 예외가 아닌데요.
일본과 대만도 마찬가지입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배삼진 특파원.
[기자]
예, 중국 증시는 청명절 연휴로 지난주 금요일인 4일 휴장했다가 오늘 거래가 재개됐는데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홍콩항셍지수는 -9.2% 하락 출발했고, 선전은 -5.9% 상하이도 -4.3% 하락 출발했습니다.
홍콩 증시는 그간 기술주 호조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왔는데요.
오늘 상승폭의 상당 부분을 반납했습니다.
중국 본토 상하이와 선전거래소 내 시가총액 유동성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300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4.41% 떨어진 3691.15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비야디와 샤오미 등도 9% 이상 하락하는 등 기술주와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 하락 폭이 컸습니다.
중국 증시가 하락한 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미국은 지난달까지 10+10%의 보편관세를 두 차례에 걸쳐 부과한 뒤 지난 2일 34%의 상호관세를 발표해 대중 관세율을 54%까지 높였습니다.
중국 정부 역시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지난 4일 미국산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복 조치를 나섰는데요.
미중 간 양보없는 강대강 대결이 이어지며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증시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주식 시장도 개장과 동시에 9% 넘게 폭락했습니다.
대만 자취안지수는 19,221.13으로 9.75% 폭락했는데, 자취안지수가 20,00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8월 5일이후 8개월 만입니다.
대만도 TSMC가 9.98% 하락하는 등 기술주 중심으로 추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라이칭더 총통은 대만 증시에 5천억 대만달러, 22조원의 공적 자금을 투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하락세를 막아내지 못했습니다.
일본 증시 역시 콘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는데요.
닛케이225 평균주가는 전장보다 8% 이상 폭락한 뒤 6%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에 협조적인 태도를 취해온 일본과 대만 역시 상호관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일본은 상호관세로 24%, 대만은 32%가 부과됐는데요.
일본 증권가에서는 트럼프 정부 관세 영향으로 여러 업종의 실적 악화 우려가 확대되면서 주력 수출 관련주를 중심으로 매도 주문이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유수민(jesj0207@yna.co.kr)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여파로 그야말로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습니다.
중국 증시도 예외가 아닌데요.
일본과 대만도 마찬가지입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배삼진 특파원.
예, 중국 증시는 청명절 연휴로 지난주 금요일인 4일 휴장했다가 오늘 거래가 재개됐는데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홍콩항셍지수는 -9.2% 하락 출발했고, 선전은 -5.9% 상하이도 -4.3% 하락 출발했습니다.
홍콩 증시는 그간 기술주 호조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왔는데요.
중국 본토 상하이와 선전거래소 내 시가총액 유동성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300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4.41% 떨어진 3691.15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비야디와 샤오미 등도 9% 이상 하락하는 등 기술주와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 하락 폭이 컸습니다.
중국 증시가 하락한 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중국 정부 역시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지난 4일 미국산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복 조치를 나섰는데요.
미중 간 양보없는 강대강 대결이 이어지며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증시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주식 시장도 개장과 동시에 9% 넘게 폭락했습니다.
대만도 TSMC가 9.98% 하락하는 등 기술주 중심으로 추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라이칭더 총통은 대만 증시에 5천억 대만달러, 22조원의 공적 자금을 투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하락세를 막아내지 못했습니다.
일본 증시 역시 콘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는데요.
닛케이225 평균주가는 전장보다 8% 이상 폭락한 뒤 6%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에 협조적인 태도를 취해온 일본과 대만 역시 상호관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일본은 상호관세로 24%, 대만은 32%가 부과됐는데요.
일본 증권가에서는 트럼프 정부 관세 영향으로 여러 업종의 실적 악화 우려가 확대되면서 주력 수출 관련주를 중심으로 매도 주문이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유수민(jesj0207@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