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영상. 7초 분량의 동영상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드라이버로 티샷을 하는 모습이 찍혔다. 사진 트루스소셜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선포한 ‘관세전쟁’으로 전 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고 있지만 정작 트럼프 대통령 본인은 크게 개의치 않는 듯한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전쟁’ 선포 후 첫 일요일인 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에 보란 듯 자신의 골프 영상을 올리며 한껏 여유를 과시했다. 7초 분량의 동영상에서는 빨간 모자를 쓴 그가 티박스에서 자세를 잡은 뒤 강한 바람 속에 드라이버로 티샷을 날려 보내는 영상이 찍혔다.
구체적인 영상 촬영 시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에서 워싱턴 DC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전용기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가진 취재진과의 대화에서 자신이 플로리다주 주피터에서 열린 시니어 클럽 챔피언십 라운드에서 우승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재진에게 “내가 이겼다는 것을 들었느냐”며 “이기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강경 보수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는 소셜미디어 엑스 글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조금 전 시니어 클럽 챔피언십에서 공동 우승을 했다”고 알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루머의 조언에 따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충성심이 의심되는 직원 6명을 해고했다는 소식이 뉴욕타임스(NYT) 등 현지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김경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막대한 美 적자 유일 해결책은 관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내 취재진과의 대화에서도 관세 정책 강행 의사를 밝혔다. 그는 상호 관세 발표 이후 곤두박질치고 있는 증시 폭락의 기준선이 어디인지를 묻는 말에는 “멍청한 질문”이라며 “저는 어떤 것도 떨어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 다만 때로는 뭔가를 바로잡기 위해 약을 먹어야 할 때도 있다”고 말했다. 관세 정책 시행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정한 시장 혼란은 거쳐야 할 필요악이라는 취지로 해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오전 올린 소셜미디어 글에서는 “유가가 내려가고 금리가 떨어지며 식품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어 “오랫동안 부당한 대우를 받아온 미국은 이미 시행 중인 관세로 가해국들로부터 매주 수십억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다”고 했다. 이번 관세 조치로 세계 증시가 급락하고 미국 내 인플레이션 공포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시장의 이런 우려를 일축하고 미국의 관세 수입이 늘고 있다는 점을 들어 반박한 것이다.
김주원 기자 |
“무역적자 해결 없이는 협상 안해”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대상국과의 협상 가능성에 대해선 “중국에 대한 무역적자는 1조 달러에 달한다. 우리는 이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저는 협상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주식 시장 폭락이 의도된 것이냐는 물음에는 “아니다. 그렇지 않다”며 “중국, 유럽연합(EU) 및 다른 국가와의 무역수지 적자를 해결하고 싶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과 유럽이 무(無)관세로 나아가야 한다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최근 발언과 관련해서는 “문제는 유럽이 미국으로부터 많은 돈을 벌어갔다는 것이다. 그들은 우리를 매우 매우 나쁘게 대했다”며 부정적인 뜻을 밝혔다.
美상무장관 “상호관세 시행 연기 없다”
일요일인 이날 재무장관, 상무장관과 백악관 경제라인 책임자들이 방송 인터뷰 등에 총출동해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 엄호에 나서며 강행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트럼프 관세’를 진두지휘하고 있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CBS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협상을 위해 상호 관세 부과 연기를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연기는 없다. 며칠 또는 몇 주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상호 관세는 부과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발언은 농담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NBC 인터뷰에서 경기 침체 우려에 대해 “경기 침체가 반드시 일어난다는 가정은 부정한다. 시장이 하루 뒤, 일주일 뒤 어떻게 반응할지 누가 알겠느냐”며 “이것은 조정의 과정이다. 경기 침체를 고려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베센트 재무장관 역시 적어도 몇 주 내 협상으로 상호 관세 부과가 유예될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교역 대상국과 협상할 의지가 있느냐는 진행자 물음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고 답했다. 이어 “50개국 이상이 무역장벽과 관세를 낮추는 것, 통화 조작을 중단하는 것 등을 미 행정부에 전달했다”며 “그들은 오랫동안 나쁜 행동을 해 왔다. 이는 며칠이나 몇 주 안에 협상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워싱턴=김형구 특파원 kim.hyounggu@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