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철(왼쪽)과 김정은(오른쪽). [KBS 보도화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북한의 역사 관련 학술지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형인 김정철의 이름이 기고자로 등장하면서 외교·안보 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샌드타임즈가 최근 입수한 북한의 역사학술지 력사과학 2024년 2월호를 분석한 결과, 해당 호에 이름을 올린 23명의 기고자 가운데 김정철만이 직책과 소속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단순한 신변 보호 차원 이상의 의도가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 고위직 출신 탈북민 A씨는 “신분이 특수해 공식적인 소속과 직책을 공개할 수 없는 인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김정철은 ‘우리 공화국을 핵 보유국의 지위에 올려세우신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동지의 불멸의 업적’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해당 글에서는 1990년대 초 미국의 압박 속에서 김정일이 자주권 수호를 위해 핵개발을 결단했고, 2006년과 2009년 두 차례 핵실험을 통해 북한이 당당히 핵 보유국 반열에 올랐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는 김정일의 결단을 “불멸의 업적이자 영웅적인 선택”이라고 평가하며 극찬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일 김정은국방종합대학을 방문해 창립 60주년을 맞는 교직원과 학생들을 축하 격려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8일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 센터장은 “김정철의 등장 시점은 가문의 역사적 정통성과 핵 개발의 당위성을 강조하려는 흐름과 정확히 일치한다”며 “그가 가문의 서사를 정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정철은 김정일의 둘째 아들이자 김정은 위원장의 친형, 그리고 김여정 부부장의 오빠로 알려져 있다. 권력에 대한 의지가 약하고 감성적인 성향이라는 이유로 후계자 경쟁에서 일찍 배제됐다는 설이 유력한 인물이다.
과거 음악과 기타 연주에 몰두했던 그가 이번에 김정일의 ‘핵 유산’을 정당화하는 글을 직접 작성했다는 점에서 그의 역할 변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그가 김정일의 아들이라는 혈통적 상징성을 바탕으로, ‘가문의 유산’과 ‘핵 정당성’이라는 무형의 권력을 관리하는 비공식 핵심 인물로 활용되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