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애크먼·일론 머스크 트럼프 지지자들 관세정책 우려
공화당 내에서도 반발 움직임.."내년 중간선거 지겠네"
보수 논객 벤 샤피로 "트럼프 관세정책, 아마도 위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에서 워싱턴DC로 돌아가는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질답을 하고 있다. (사진=AFP) |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관세 시행을 90일간 유예하고, 협상을 통해 무역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인 월가의 억만장자 투자자인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캐피털 회장은 6일(현지시간) 소셜네트웍스 ‘엑스’에 이 같은 의견을 게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 시행일(9일)이 며칠 앞으로 다가오면서 전 세계 증시가 요동치자, 이를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낸 것이다.
대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했던 월가 재력가들이 잇따라 반대 의견을 내며 그에게서 등을 돌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애크먼은 CEO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시행을 유예하고, 불공정한 관세 체제를 바로잡을 시간을 가져야 한다”며 “반대로 가지 않으면 우리는 스스로 유발한 ‘경제적 핵겨울’(economic nuclear winter)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냉정한 이성이 승리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애크먼은 트럼프 행정부가 주장하는 ‘수십 년간의 불공정한 무역관행’이 미국을 불리하게 만들었다는 입장 자체는 동의했다. 그러나 그는 관세 정책을 성급히 도입하는 것이 부작용이 훨씬 더 크다고 지적하며 관세 부과 시점을 ‘90일 후’로 유예하고 협상에 나설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관세 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대선 이후 최측근으로 등극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5일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열린 이탈리아 극우정당 ‘라 레가’의 연방 전당대회에서 ‘미국과 유럽의 무관세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의 ‘관세 책사’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에 대해서도 한 네티즌의 엑스 게시글에 단 댓글을 통해 “자아(ego)가 두뇌(brain)보다 더 큰 문제”라고 반박했다.
테슬라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를 공식적으로 표명하기도 했다. 테슬라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다른 국가들의 보복조치를 유발하며 이로 인해 미국산 전기차와 배터리제품에 대한 관세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공화당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친(親)트럼프 인사인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공화·텍사스)는 지난 5일 팟캐스트에서 “지구상 모든 국가가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끔찍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미국이 경기침체를 겪고 국민이 큰 고통을 겪는다면 유권자들은 여당을 처벌한다”며 “미국이 심각한 불황에 빠지면 2026년 중간선거는 대참사가 될 가능성이 크다. 하원뿐 아니라 상원까지 민주당에 넘어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음날인 3일에는 척 그래슬리(아이오와) 공화당 상원의원과 마리아 캔트웰(워싱턴) 민주당 상원의원이 관세정책에 대한 대통령 권한을 차단하려는 법안을 공동발의하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대통령이 제안한 관세는 60일 이내에 의회 승인을 받아야 하며, 백악관은 관세가 기업과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여기에 돈 베이컨(네브래스카) 공화당 하원의원 역시 관세 승인에 있어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려는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하원 지도부는 지난달 통과시킨 연방정부 예산안에 “트럼프 대통령이 2월 1일 선포한 비상사태와 관련해 119대 의회의 남은 모든 날은 달력상의 하루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선언해 이같은 시도를 원천 차단한 상태다.
보수 논객 가운데서도 관세정책의 타당성과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랜 친구이자 폭스뉴스의 유명앵커인 숀 해니티는 “(무역) 경기장이 평평해지고 있다”면서도 “처음에는 좀 혼란스러울 수 있다”며 여러 부작용과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데일리와이어 공동창립자이자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벤 샤피로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아마도 위헌일 가능성이 크고,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